기혼여성 2명중 1명, 양육·교육비 등 경제적 이유로 출산중단
입력
수정
보사연 보고서…"출산·양육 지원과 일·가정양립 최우선 추진해야"
배우자가 있는 여성 약 2명 중 1명은 양육비나 교육비 등 경제적 부담으로 더는 아이를 낳지 않기로 정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이 때문에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 수는 평균 2.16명이지만, 실제 출산한 자녀 수는 평균 1.75명으로 이상 자녀 수보다 0.41명 적었다.
2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자녀 출산실태와 정책 함의' 보고서(이소영 연구위원)에 따르면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15∼49세 기혼여성의 자녀 출산실태를 살펴보니, 이같이 나왔다.
조사결과, 현재 배우자가 있는 유배우 여성의 향후 출산 계획을 물어보니, '계획 없음'(84.8%)이 대부분이었다.'계획 있음'은 10.4%, '모르겠음'은 4.8%였다.
앞으로 애를 낳을 계획이 없는, 즉 출산이 완결된 유배우 여성의 출산중단 이유를 조사한 결과, '자녀교육비 부담'(16.8%), '자녀양육비 부담'(14.2%) , '소득·고용 불안정'(7.9%), '일·가정 양립 곤란'(6.9%), '자녀 양육을 위한 주택마련 곤란'(1.3%) 등 경제적 이유로 분류될 수 있는 응답의 비율이 47.1%로 거의 절반에 달했다.
또 '계획한 만큼 자녀를 낳거나 남들과 자녀 수가 비슷해서'(20.1%)와 '본인의 나이가 많아서'(20.1%) 등을 추가 출산을 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 들었다.이어 '본인이나 배우자의 건강문제'(4.0%), '여가와 자아 성취 시간이 부족하거나 부부만의 생활이 즐거워서'(3.1%), '아이가 행복하기 힘든 사회여서'(2.8%), '불임'(1.4%), '가사·양육 불공평, 부부 관계 불화, 가족 수발 때문'(0.8%), 기타(0.6%) 등이었다.
연령별 출산중단 주된 이유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45~49세 기혼여성은 나이가 많은 점을 내세웠지만, 20대는 자녀양육비 부담을, 35~39세는 자녀교육비 부담을 첫손으로 꼽았다.기혼여성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자녀 수는 평균 2.16명이었으며 결혼 당시 계획한 자녀 수도 평균 2.0명으로 여전히 결혼한 여성은 2명 정도의 자녀를 낳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실제로 출산한 자녀 수는 평균 1.75명으로 이상 자녀 수보다 0.41명 적고, 향후 출산까지 고려해도 이상 자녀 수보다 0.24명이 적었다.
아직도 우리나라의 기혼여성은 경제적 이유 등으로 원하는 만큼의 자녀를 출산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연구팀은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자녀를 원하는 만큼 낳기 어렵게 만드는 장애물을 제거하는 일"이라며 "이를 위해 자녀 출산과 양육을 위한 경제적 지원과 일·가정양립을 최우선으로 추진하고 나아가 우리 사회를 긍정적으로 전망할 수 있게 다양한 사회안전망을 견고히 구축,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연합뉴스
배우자가 있는 여성 약 2명 중 1명은 양육비나 교육비 등 경제적 부담으로 더는 아이를 낳지 않기로 정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이 때문에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 수는 평균 2.16명이지만, 실제 출산한 자녀 수는 평균 1.75명으로 이상 자녀 수보다 0.41명 적었다.
2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자녀 출산실태와 정책 함의' 보고서(이소영 연구위원)에 따르면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15∼49세 기혼여성의 자녀 출산실태를 살펴보니, 이같이 나왔다.
조사결과, 현재 배우자가 있는 유배우 여성의 향후 출산 계획을 물어보니, '계획 없음'(84.8%)이 대부분이었다.'계획 있음'은 10.4%, '모르겠음'은 4.8%였다.
앞으로 애를 낳을 계획이 없는, 즉 출산이 완결된 유배우 여성의 출산중단 이유를 조사한 결과, '자녀교육비 부담'(16.8%), '자녀양육비 부담'(14.2%) , '소득·고용 불안정'(7.9%), '일·가정 양립 곤란'(6.9%), '자녀 양육을 위한 주택마련 곤란'(1.3%) 등 경제적 이유로 분류될 수 있는 응답의 비율이 47.1%로 거의 절반에 달했다.
또 '계획한 만큼 자녀를 낳거나 남들과 자녀 수가 비슷해서'(20.1%)와 '본인의 나이가 많아서'(20.1%) 등을 추가 출산을 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 들었다.이어 '본인이나 배우자의 건강문제'(4.0%), '여가와 자아 성취 시간이 부족하거나 부부만의 생활이 즐거워서'(3.1%), '아이가 행복하기 힘든 사회여서'(2.8%), '불임'(1.4%), '가사·양육 불공평, 부부 관계 불화, 가족 수발 때문'(0.8%), 기타(0.6%) 등이었다.
연령별 출산중단 주된 이유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45~49세 기혼여성은 나이가 많은 점을 내세웠지만, 20대는 자녀양육비 부담을, 35~39세는 자녀교육비 부담을 첫손으로 꼽았다.기혼여성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자녀 수는 평균 2.16명이었으며 결혼 당시 계획한 자녀 수도 평균 2.0명으로 여전히 결혼한 여성은 2명 정도의 자녀를 낳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실제로 출산한 자녀 수는 평균 1.75명으로 이상 자녀 수보다 0.41명 적고, 향후 출산까지 고려해도 이상 자녀 수보다 0.24명이 적었다.
아직도 우리나라의 기혼여성은 경제적 이유 등으로 원하는 만큼의 자녀를 출산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연구팀은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자녀를 원하는 만큼 낳기 어렵게 만드는 장애물을 제거하는 일"이라며 "이를 위해 자녀 출산과 양육을 위한 경제적 지원과 일·가정양립을 최우선으로 추진하고 나아가 우리 사회를 긍정적으로 전망할 수 있게 다양한 사회안전망을 견고히 구축,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