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연 1.75%로 동결…"韓 경제 흐름 1월 전망에 부합"
입력
수정
한국은행이 28일 올해 두 번째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75%로 동결했다. 한은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세가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움직여 1월 제시한 전망치(2.6%)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했다.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완화 기조를 유지하겠지만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할 단계는 아니란 입장을 재확인했다.
◆금통위, 기준금리 만장일치로 동결…연 1.75%한은은 이날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1.75%로 유지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통위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금통위원 전원이 기준금리 동결에 대해 만장일치 의견을 나타냈다"며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는 향후 성장과 물가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시장에서는 이날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을 기정사실화하고 있었다. 경기 둔화 우려가 가중되고 있고,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화돼 추가적으로 '매파'(통화 긴축 선호) 움직임이 나타날 가능성은 낮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올해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로 돌아선 미국 중앙은행(Fed)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 등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혔다.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3∼18일 56개 기관의 채권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전원이 이달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고 답했다.
◆한은 "韓 경제 성장, 1월 전망에 부합 전망…금리 인하 검토 단계 아냐"
경기 둔화 우려가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한은은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할 단계는 아니다"며 재차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일부 경제지표가 다소 부진한 움직임을 보여 (기준금리 인하론이 불거진다는 것은) 이해를 하지만 현재 기준금리는 여전히 완화적인 범위"라며 "국내 경제는 1월 전망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금융안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 경제에 대해 이 총재는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이어갔다"며 "앞으로 성장 흐름은 지난 1월 전망 경로에 대체로 부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 1월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설비 및 건설투자의 조정이 이어졌고 수출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소비가 완만한 증가세를 지속했다는 분석이다. 건설투자 조정이 지속되겠지만 수출과 설비투자도 하반기로 가면서 점차 회복될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 이 총재는 최근 Fed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조절에 대해서도 "금리 인상 방향 자체가 바뀐 것은 아니다"고 평가했다. 그는 "Fed가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조절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Fed의 금리 정책 방향이 바뀐 것이 아니기 때문에 취약 신흥국을 대상으로 금융 불안이 제기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올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 가격 하락, 농·축·수산물가격 상승폭 축소 등으로 상승률이 0.8%대로 밀렸다. 지난 1월 전망치(올해 상승률 전망치 1.4%)를 밑돌았고, 목표치(2.0%)도 크게 밑돌고 있다.
이 총재는 이에 대해 "국제유가 하락과 정부의 복지 정책 강화 영향 등 통화정책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공급측 요인이 작용했다"며 "이 같은 요인을 제외한 기조적 물가는 1%대 중후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신축적(flexible) 물가 안정 목표제를 채택하고 있다"며 "거시 경제 흐름과 금융안정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통화정책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은은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1%를 밑도는 수준에서 등락하다가 하반기 이후 1%대 중반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근원인플레이션율도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관측했다.아울러 함께 점검할 요인으로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 신흥시장국 금융·경제상황,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꼽았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금통위, 기준금리 만장일치로 동결…연 1.75%한은은 이날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1.75%로 유지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통위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금통위원 전원이 기준금리 동결에 대해 만장일치 의견을 나타냈다"며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는 향후 성장과 물가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시장에서는 이날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을 기정사실화하고 있었다. 경기 둔화 우려가 가중되고 있고,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화돼 추가적으로 '매파'(통화 긴축 선호) 움직임이 나타날 가능성은 낮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올해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로 돌아선 미국 중앙은행(Fed)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 등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혔다.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3∼18일 56개 기관의 채권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전원이 이달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고 답했다.
◆한은 "韓 경제 성장, 1월 전망에 부합 전망…금리 인하 검토 단계 아냐"
경기 둔화 우려가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한은은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할 단계는 아니다"며 재차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일부 경제지표가 다소 부진한 움직임을 보여 (기준금리 인하론이 불거진다는 것은) 이해를 하지만 현재 기준금리는 여전히 완화적인 범위"라며 "국내 경제는 1월 전망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금융안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 경제에 대해 이 총재는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이어갔다"며 "앞으로 성장 흐름은 지난 1월 전망 경로에 대체로 부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 1월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설비 및 건설투자의 조정이 이어졌고 수출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소비가 완만한 증가세를 지속했다는 분석이다. 건설투자 조정이 지속되겠지만 수출과 설비투자도 하반기로 가면서 점차 회복될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 이 총재는 최근 Fed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조절에 대해서도 "금리 인상 방향 자체가 바뀐 것은 아니다"고 평가했다. 그는 "Fed가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조절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Fed의 금리 정책 방향이 바뀐 것이 아니기 때문에 취약 신흥국을 대상으로 금융 불안이 제기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올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 가격 하락, 농·축·수산물가격 상승폭 축소 등으로 상승률이 0.8%대로 밀렸다. 지난 1월 전망치(올해 상승률 전망치 1.4%)를 밑돌았고, 목표치(2.0%)도 크게 밑돌고 있다.
이 총재는 이에 대해 "국제유가 하락과 정부의 복지 정책 강화 영향 등 통화정책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공급측 요인이 작용했다"며 "이 같은 요인을 제외한 기조적 물가는 1%대 중후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신축적(flexible) 물가 안정 목표제를 채택하고 있다"며 "거시 경제 흐름과 금융안정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통화정책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은은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1%를 밑도는 수준에서 등락하다가 하반기 이후 1%대 중반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근원인플레이션율도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관측했다.아울러 함께 점검할 요인으로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 신흥시장국 금융·경제상황,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꼽았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