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노총, 노동현안 놓고 잇단 비방전…이면엔 '1위 싸움'

"한국노총이 경영계와 야합"
"민주노총, 노조 자격 없다"

조합원수 비슷해지자 '규모 경쟁'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 (탄력근로제 확대에 이어) 또 밀실 야합을 하려고 한다.” “주장과 투쟁만이 전부인 상급단체(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는 노동조합 자격이 없다.”

양대 노총이 또다시 상대방을 향해 ‘포문’을 열었다. 지난 19일 노사정이 전날 합의한 탄력근로제 확대 방안을 두고 난타전을 벌인 지 1주일 만이다.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은 27일 열린 정기대의원대회에서 “탄력근로제 확대는 책임감 속에서 나온 결단”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상급단체가 끝까지 문제를 책임지지 않으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노동자에게 돌아간다”며 “그것을 알고도 똑같은 행동을 반복한다면 노조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20일 민주노총이 한국노총의 탄력근로제 합의에 대해 “지도부 탄핵감”이라며 비난하자 맞대응한 것이다. 광주형 일자리와 관련해서도 “한국노총이 주도적으로 만들어낸 결과물”이라며 “한국노총은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방식이 아닌 조금씩 나아가는 운동을 펼칠 것”이라고 민주노총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곧바로 맞받아쳤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3월 총파업 참여를 독려하는 담화문을 내고 “노사정 대표자들이 민주노총이 빠져있는 틈을 타 (탄력근로제 확대를) 야합해버렸다”며 “경총이 무엇이든 주문만 하면 정부와 국회가 압박하고 한국노총이 손잡아 법 취지를 흔들며 개악하는 꼴”이라고 공격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한국노총이 쟁의행위 시 직장점거 금지, 단체협약 유효기간 연장 등 (경영계 요구사항) 상당 부분에 동의해 곧 합의가 있을 거라는 소식이 보도되고 있다”며 “경총과 한국노총이 (또다시) 밀실 야합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각에서는 양대 노총의 이례적인 상호 비방전을 놓고 ‘제1노총’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본격화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금까지는 민주노총의 비난에도 제1노총인 한국노총이 여유 있게 대응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노총 조합원 수는 101만6000여 명으로 1년 동안 4만 명가량 늘었다. 반면 민주노총 조합원은 99만5000여 명으로 같은 기간 20만 명 이상 증가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