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3만원대 한식 뷔페 '찬바람' vs 10만원대 호텔 뷔페 '한달前 예약'

소득 3만弗 시대…소비 트렌드가 바뀐다

외면받는 중저가 상품·브랜드
‘100만원짜리 명품 셔츠를 입지만 점심은 3000원짜리 편의점 도시락으로 해결한다.’

소비 유통시장에서 중저가 브랜드와 상품들이 고전하는 배경에 대한 전문가들의 분석은 이렇게 요약된다. 럭셔리와 초저가의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공세에 밀려 ‘어중간함’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패션시장에서 두드러진다. 한때 잘나가던 여성복 브랜드 ‘나이스클랍’ ‘씨’ ‘쥬크’ 등은 아울렛으로 주된 유통망이 바뀌었다. ‘흄’ ‘엔클라이드’ ‘지오다노’ 등 캐주얼 브랜드도 성장세가 꺾였다. 백화점 매장을 접고 상시할인매장으로 눈을 돌린 지 오래다. 유니클로 자라 스파오 탑텐 등 제조직매형 의류(SPA) 브랜드와 명품 사이에서 어중간한 가격대 브랜드는 아울렛으로 발길을 돌리거나 기존 백화점, 쇼핑몰에서 대폭 세일하는 방향으로 틀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패션업계에선 “머지않아 초고가 명품과 유니클로만 살아남게 될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2만~3만원대의 한식 뷔페가 고전하는 것도 같은 흐름이다. 한식 뷔페 ‘계절밥상’의 매장 수는 2016년 말 45개에서 2017년 말 54개로 늘어났지만 지난해 29개로 줄었다. ‘올반’은 2014년 2개에서 2017년 15개로 매장 수를 늘렸지만 현재 12개로 감소했다. 패밀리레스토랑 빕스 매장 수는 2015년 92개에서 지난해 61개로, 애슐리는 140곳에서 110곳으로 줄었다.작년 말 서울신라호텔이 평일 26만원, 주말 29만원짜리 ‘멤버스 데이’ 패키지 400개를 회원 대상으로 내놓자 1초 만에 매진됐다. 겨울철 호캉스(호텔+바캉스) 열풍에 따른 것. 호캉스족 덕분에 5성급 특급호텔은 주말에 방을 예약하기가 쉽지 않다. 1박에 20만원을 웃도는 롯데호텔월드는 지난해 국내 투숙객 비율이 10% 증가했다. 비슷한 가격대의 인천 파라다이스시티는 가족과 연인에게 호캉스 ‘성지’로 등극하며 소셜미디어(SNS)를 장식하고 있다. 반면 3~4성급 비즈니스호텔 관광호텔은 실적 악화에 고전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소득양극화에 따른 소비양극화로도 볼 수 있지만 개인들의 소비 패턴에서도 비싼 가격을 지급하고라도 심리적 만족을 중시하는 성향과 무조건 저렴한 것을 찾는 경향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효주 기자 j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