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發 미세먼지 더 큰 재앙 온다
입력
수정
지면A1
석탄발전소 464기 추가로 짓는 中중국발(發) 미세먼지에 대한 공포가 확산하는 가운데 중국이 2~3년 내 464기에 달하는 석탄발전소를 추가로 지을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이 가동 중인 석탄발전소(78기)의 약 6배에 달하는 규모다. 한반도에 직접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는 중국 동부 지역에 집중 건설될 예정이어서 환경 영향에 대한 한·중 간 협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년 내 설비용량 26%나 늘어
한반도 인접한 동부지역 집중
중국과 환경 영향 협의 나서야
7일 국제 비영리 환경연구단체인 콜스웜에 따르면 중국에서 25만9000㎿ 용량의 석탄발전소가 건설 중이거나 허가를 받은 상태다. 원자력발전으로 따지면 259기에 해당하는 발전 용량이다.중국은 98만2264㎿ 규모의 석탄발전소(896곳·2927기)를 운영하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다. 2위인 미국(25만9478㎿)보다 약 4배 많다. 중국이 예정대로 신규 석탄발전소를 완공하면 전체 설비 용량은 125만㎿ 이상으로, 지금보다 약 26% 증가할 것이란 게 콜스웜의 설명이다.
크리스틴 시어러 콜스웜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애초 2020년까지 전국 석탄발전소의 최대 용량을 110만㎿로 제한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이 짓고 있다”며 “2000년 이후 새로 건설된 세계 석탄발전소의 70%를 중국이 차지했다”고 지적했다.
중국 미세먼지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우리나라엔 비상이 걸렸다. 추가 건설되는 석탄발전소의 절반가량이 산업화 진행 속도가 빠른 중국 동부 지역에 몰려 있기 때문이다. 김남일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중국은 전체 전력 생산의 70%를 석탄 발전에 의존하고 있어 쉽게 줄이지 못할 것”이라며 “한·중 간 협의를 통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필요하다면 정부 차원의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中, 공사 중인 석탄발전만 263기…그 중 절반은 한반도 '바로 옆'
“미세먼지가 심할 때 석탄화력발전을 감축하고 경유차 운행을 제한한다는데 그게 무슨 소용입니까. 비행기로 불과 1~2시간 거리에 있는 중국 동부지역에 발전소를 왕창 짓고 있는데….”(환경연구기관 관계자)
중국이 당초 발표했던 ‘5개년 에너지 계획’(2016~2020년)과 달리 석탄화력발전소를 훨씬 많이 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중국은 석탄발전소의 설비 용량을 최대 110만㎿로 억제하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했지만 현재 짓고 있거나 건설 허가(예비허가 포함)를 내준 곳을 포함하면 총 125만㎿ 이상에 달한다. 특히 산업화 속도가 빠른 동부지역에 집중 건설하면서 인접한 한국이 최대 환경 피해국이 될 것이란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중국, 세계 신규 발전소 70%
국제 환경연구단체인 콜스웜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17년까지 18년 동안 세계 석탄발전소 설비 용량의 70% 이상을 중국이 자국 내에 건설한 것으로 나타났다. 석탄화력과 같은 값싼 전력 생산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 내 석탄발전 용량은 총 98만2264㎿로, 미국(25만9478㎿) 인도(22만670㎿)의 약 4배다. 일본(4만5568㎿) 한국(3만7064㎿)과 비교하면 30배 안팎 많은 수치다.중국은 지금도 석탄발전소를 짓고 있다. 매년 한국의 전체 석탄발전 용량보다 많은 4만~5만㎿ 규모의 발전소를 새로 건설하고 있다. 현재 가동 중인 석탄발전소는 2927기로 한국(78기)의 약 38배에 달한다. 공사 중인 석탄발전소만 263기(계획된 곳 포함하면 464기)에 달한다는 게 콜스웜 측 설명이다. 인도(866기) 인도네시아(144기) 일본(136기) 등보다 훨씬 많다. 반면 미국은 석탄발전소를 아예 짓지 않고 있다.
문제는 한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중국 동부지역의 석탄발전소 비중이 워낙 높다는 점이다. 한국과 가장 가까운 산둥성에서만 총 8만9904㎿ 용량의 발전소가 돌고 있다. 또 1만850㎿의 새 발전소가 조만간 새로 가동된다. 이어 네이멍구자치구(8만180㎿) 장쑤성(7만6553㎿) 허난성(6만2565㎿) 산시성(5만8062㎿) 등 한국 공기질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동부지역에 화력발전소가 몰려 있다. 국내 에너지기관 관계자는 “중국 동부지역의 석탄발전소 비중이 전체의 50~60%에 달한다”고 말했다. 한 환경단체 관계자는 “이들 지역 발전소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는 서풍을 타고 반나절 만에 한반도를 덮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년 후에도 큰 변화 없을 것”
이런 영향으로 20여 년 후에도 중국 석탄발전에 따른 ‘미세먼지 재앙’이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란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7일 “2040년 세계 석탄 수요가 재작년 53억5700만tce(석탄환산톤: 석탄 1t 연소 때 발생하는 에너지)보다 소폭 늘어난 54억tce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한국과 일본, 유럽 등에선 석탄 소비가 줄겠지만 인도 등 신흥아시아 국가들의 수요가 늘면서 감소분을 상쇄할 것이란 예상이다. 특히 중국이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원자력발전소 및 신재생발전소 건설을 늘리고 있지만 석탄 수요는 크게 줄지 않을 것으로 관측됐다. 지금도 세계에서 소비되는 석탄의 25%는 중국의 전력 생산에 사용될 정도로 비중이 높다. 2017년 기준 중국 내 석탄 수요가 27억5300만tce였는데, 2040년에는 23억9500만tce로 약 13% 줄어드는 데 그칠 것이란 게 IEA 측 분석이다. 연평균 감소율이 0.6%에 그치는 셈이다.대규모 석탄발전에 따른 중국의 이산화탄소(CO2) 배출량도 상당하다. 콜스웜에 따르면 중국은 작년 한 해 동안 약 4억t의 CO2를 배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남일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석탄발전 비중이 70%에 달하는 중국에서 원전이나 태양광 등 대체에너지로 전환하는 데는 상당한 기간이 필요하다”며 “정치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같은 역내국인 일본과도 공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