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동창리 파장 확산 경계…"협상 계속" 메시지 속 압박 병행
입력
수정
트럼프 "조금 실망" 수위 조절·美당국자 "핵심 시설 아냐" 긴급 브리핑
후속 협상 불씨 살려두는 동시에 제재강화 시사로 北에 경고 메시지도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복구를 빠르게 진척시키는 신호가 연달아 포착되자 미국이 '상황 관리'에 나서고 있다.북한의 움직임을 과도하게 해석함으로써 협상 판 자체가 흔들리는 것을 경계하면서도, 압박 기조를 유지한다는 분명한 경고 메시지를 던지면서 북한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7일(현지시간) 미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전날 촬영된 상업 위성사진을 토대로 미사일 발사대와 엔진시험대를 재건하려는 공사가 빠른 속도로 계속되고 있다며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이 정상가동 상태로 복귀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도 이날 동창리 발사장이 복원된 것으로 보인다며 38노스와 같은 내용의 분석을 내놨다.미국이 정보자산을 동원해 면밀히 들여다보는 와중에 북한의 동창리 발사장 복구 작업이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북한이 미국 본토에 직접 위협이 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카드'로 대미 압박에 나선 것일 수 있어 파장 확산이 불가피하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조금 실망했다"라는 반응을 내놨다.전날 북한의 동창리 발사장 복구 움직임 보도에 대해 사실일 경우라는 단서를 달며 "매우 매우 실망할 것"이라고 유보적인 반응을 보인 데서 한발 더 나간 것이다.
그러나 후속 협상 재개를 위한 문을 계속 열어두는 가운데 판을 깨지 않는 제한적인 범위에서 북한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
이같은 입장은 이날 오후 갑작스럽게 잡힌 미 국무부 고위당국자의 브리핑에서도 그대로 유지됐다.미 고위당국자는 동창리 발사장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약속대로 검증 과정을 거쳐 폐기될 대상임을 분명히 하면서도 "북한 핵인프라의 핵심적 부분은 아니다"라고 거듭 언급했다.
북한이 동창리 발사장을 정상가동 상태로 복구시킨 것으로 보인다는 38노스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관측에 대해서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으나 (당국도) 같은 결론을 내린 것은 아니다"라고 진화를 시도했다.
미국이 최대압박을 내세우면서도 북한과의 협상 재개를 추진하는 가운데 동창리 변수로 협상 테이블이 엎어지는 상황을 원치 않는다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관측된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내세워 최대압박 유지를 통한 '빅딜' 수용을 압박하면서도 "몇 주 내 평양에 협상팀을 보내고 싶다"는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발언을 통해 협상의 맥을 이어가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방침이 일단 유지되는 셈이다.
'동창리 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할 경우 북한의 ICBM 실험 중단으로 미국 본토에 대한 북핵 위협을 상당히 감소시켰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나쁜 합의보다는 합의를 안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의 미국 내 여론이기는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동창리 동향에 따라 미국 본토에 대한 위협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는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이 고위 당국자가 북한 실무협상팀에 좀더 재량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후속 협상 재개를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당국자는 "북한 실무협상팀이 2차 북미정상회담을 준비하면서 가졌던 것보다 더 많은 재량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2차 회담에 앞서 이뤄진 실무협상에서 사실상 논의가 진척되지 못했음을 지적한 것이다.
이 당국자는 북한 체제상 김 위원장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트럼프 대통령이 '톱다운' 접근을 한 것도 이 때문이라면서 "북한 협상팀이 북한 정부의 맨 윗선에서 방침을 받게 된다면 우리가 빠른 진척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모든 결정이 김 위원장에게 수렴되는 북한의 체제 특성에 실무협상팀의 확대된 재량이 결합할 경우 협상에서 더 많은 성과를 얻게될 것이라는 점을 북측에 전달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이 당국자는 대북제재가 그대로 유지될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따라 제재가 강화될 수 있다는 언급도 동시에 내놨다.
북한이 동창리 발사장 복구를 고리로 대미 ICBM 압박에 나서려는 의도가 분명해질 경우 제재수위를 높여 맞대응하겠다는 경고로 해석된다.
이 고위당국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의 완전한 제거를 요구했다는 점도 명확히 했다.
그는 2차 회담 결렬 후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회견을 통해 "미국이 한 가지 조치를 더 요구했다"고 말한 것과 관련, 리 외무상이 무슨 뜻으로 한 얘기인지는 모르겠다면서도 "내가 분명히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제안한 것은 WMD 프로그램의 완전한 제거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WMD 프로그램의 완전한 제거가 생화학 무기와 핵무기 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냐는 질문에도 "그렇다"고 확인했다.
북한이 'ICBM 카드'로 대미압박에 나서더라도 미국은 입장을 바꿀 생각이 없음을 재확인한 것으로 분석된다.앞서 볼턴 보좌관은 연속 인터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생화학무기까지 포함하는 WMD 전부에 대한 '빅딜'과 그에 대한 경제적 보상을 제안했다고 말한 바 있다.
/연합뉴스
후속 협상 불씨 살려두는 동시에 제재강화 시사로 北에 경고 메시지도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복구를 빠르게 진척시키는 신호가 연달아 포착되자 미국이 '상황 관리'에 나서고 있다.북한의 움직임을 과도하게 해석함으로써 협상 판 자체가 흔들리는 것을 경계하면서도, 압박 기조를 유지한다는 분명한 경고 메시지를 던지면서 북한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7일(현지시간) 미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전날 촬영된 상업 위성사진을 토대로 미사일 발사대와 엔진시험대를 재건하려는 공사가 빠른 속도로 계속되고 있다며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이 정상가동 상태로 복귀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도 이날 동창리 발사장이 복원된 것으로 보인다며 38노스와 같은 내용의 분석을 내놨다.미국이 정보자산을 동원해 면밀히 들여다보는 와중에 북한의 동창리 발사장 복구 작업이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북한이 미국 본토에 직접 위협이 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카드'로 대미 압박에 나선 것일 수 있어 파장 확산이 불가피하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조금 실망했다"라는 반응을 내놨다.전날 북한의 동창리 발사장 복구 움직임 보도에 대해 사실일 경우라는 단서를 달며 "매우 매우 실망할 것"이라고 유보적인 반응을 보인 데서 한발 더 나간 것이다.
그러나 후속 협상 재개를 위한 문을 계속 열어두는 가운데 판을 깨지 않는 제한적인 범위에서 북한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
이같은 입장은 이날 오후 갑작스럽게 잡힌 미 국무부 고위당국자의 브리핑에서도 그대로 유지됐다.미 고위당국자는 동창리 발사장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약속대로 검증 과정을 거쳐 폐기될 대상임을 분명히 하면서도 "북한 핵인프라의 핵심적 부분은 아니다"라고 거듭 언급했다.
북한이 동창리 발사장을 정상가동 상태로 복구시킨 것으로 보인다는 38노스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관측에 대해서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으나 (당국도) 같은 결론을 내린 것은 아니다"라고 진화를 시도했다.
미국이 최대압박을 내세우면서도 북한과의 협상 재개를 추진하는 가운데 동창리 변수로 협상 테이블이 엎어지는 상황을 원치 않는다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관측된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내세워 최대압박 유지를 통한 '빅딜' 수용을 압박하면서도 "몇 주 내 평양에 협상팀을 보내고 싶다"는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발언을 통해 협상의 맥을 이어가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방침이 일단 유지되는 셈이다.
'동창리 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할 경우 북한의 ICBM 실험 중단으로 미국 본토에 대한 북핵 위협을 상당히 감소시켰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나쁜 합의보다는 합의를 안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의 미국 내 여론이기는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동창리 동향에 따라 미국 본토에 대한 위협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는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이 고위 당국자가 북한 실무협상팀에 좀더 재량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후속 협상 재개를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당국자는 "북한 실무협상팀이 2차 북미정상회담을 준비하면서 가졌던 것보다 더 많은 재량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2차 회담에 앞서 이뤄진 실무협상에서 사실상 논의가 진척되지 못했음을 지적한 것이다.
이 당국자는 북한 체제상 김 위원장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트럼프 대통령이 '톱다운' 접근을 한 것도 이 때문이라면서 "북한 협상팀이 북한 정부의 맨 윗선에서 방침을 받게 된다면 우리가 빠른 진척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모든 결정이 김 위원장에게 수렴되는 북한의 체제 특성에 실무협상팀의 확대된 재량이 결합할 경우 협상에서 더 많은 성과를 얻게될 것이라는 점을 북측에 전달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이 당국자는 대북제재가 그대로 유지될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따라 제재가 강화될 수 있다는 언급도 동시에 내놨다.
북한이 동창리 발사장 복구를 고리로 대미 ICBM 압박에 나서려는 의도가 분명해질 경우 제재수위를 높여 맞대응하겠다는 경고로 해석된다.
이 고위당국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의 완전한 제거를 요구했다는 점도 명확히 했다.
그는 2차 회담 결렬 후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회견을 통해 "미국이 한 가지 조치를 더 요구했다"고 말한 것과 관련, 리 외무상이 무슨 뜻으로 한 얘기인지는 모르겠다면서도 "내가 분명히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제안한 것은 WMD 프로그램의 완전한 제거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WMD 프로그램의 완전한 제거가 생화학 무기와 핵무기 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냐는 질문에도 "그렇다"고 확인했다.
북한이 'ICBM 카드'로 대미압박에 나서더라도 미국은 입장을 바꿀 생각이 없음을 재확인한 것으로 분석된다.앞서 볼턴 보좌관은 연속 인터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생화학무기까지 포함하는 WMD 전부에 대한 '빅딜'과 그에 대한 경제적 보상을 제안했다고 말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