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압박하는 '캐스팅보터' 바른미래당

김관영 "선거제 결단 안하면 패스트트랙 등 용인으로 간주"
바른미래당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절차)’을 무기로 자유한국당을 압박하며 3월 임시국회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캐스팅보트’ 역할을 자임하고 있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한국당이 선거제 개혁에 대한 바른미래당의 절박한 요청을 끝내 거절한다면 패스트트랙을 포함한 다른 방법을 강구해도 상관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표현한 것으로 간주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늘이라도 선거제 개혁을 위한 진지한 논의에 나서 달라”고 요구했다.김 원내대표는 “한국당은 어떤 협상도 성의를 갖고 임하지 않고 있는 반면 더불어민주당 제안은 지역구 축소에 대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고려하고 비례성과 대표성을 강화했다는 점에서 진일보했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을 각각 225석과 75석으로 하는 내용 등을 담은 선거제 개혁안을 당론으로 정한 것에 대한 긍정 평가다.

반면 바른미래당이 선거제 개혁 이슈를 놓고 마냥 민주당과 연대하기에는 부담이 크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선거제 개편에서는 민주당 손을 들어줬지만 지금까지 주요 쟁점 현안이 생길 때마다 거대 정당인 민주당과 한국당이 평행선을 달리면 사안에 따라 여야를 오가는 유연성을 보였기 때문이다. 29개의 적은 의석수에도 불구하고 국회 법안 논의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캐스팅보트 전략을 유지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이에 따라 대여(對與) 투쟁 차원에서 사안마다 정책 연대를 해온 한국당과의 공조가 깨지면 제3당으로서 바른미래당 위상이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