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권 조정 '키' 쥔 이상민 등장에…검·경, 이해득실 따지느라 분주
입력
수정
지면A27
Law & Biz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장 선출
법조계 기득권 반대 앞장서와
檢 "소통 원할해질 것으로 기대"
警 "박영선처럼 개혁의지 강했으면..."
사개특위는 13일 전체회의를 열고 박 의원 입각으로 자리가 비는 위원장직을 이 의원에게 맡길 예정이다. 4선 중진인 이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과 친분이 별로 없는 ‘비문(비문재인)’ 인사로 분류된다. 소아마비로 다리가 불편해 어릴 때부터 휠체어를 타고 다녔다. 대전 충남고와 충남대 법학과 출신으로 변호사가 된 이후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보호에 꾸준히 관심을 기울여왔다.
이 의원 등장에 특히 민감해하는 쪽은 검찰이다. 이 의원이 법조계의 기득권을 깨뜨려야 한다고 주장해왔기 때문이다. 그는 사법시험을 없애야 한다고 앞장서 주장했고, 변호사에게 세무사 자격을 자동으로 부여해온 제도 역시 반대했다. 2015년 검찰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이 의원에게 “잘 부탁한다”며 인사를 하려 했지만 만나 주지 않아 당시 박성재 서울중앙지검장은 국감 전날 이 의원의 저녁 장소를 찾아 협조를 부탁하는 모습까지 보였다.
검찰의 카카오톡 감청 논란에 대해 자료 제출을 놓고 김수남 전 검찰총장과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평소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에 강한 의지를 보여온 것도 검찰 이익과는 거리가 있다. 법조계 출신이지만 수사권 조정에서 검찰에 우호적인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목소리가 벌써부터 커지는 배경이다.물론 검경 양측은 아직까지 이렇다 할 속내를 드러내지 않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기대를 나타내는 모습이다. 검찰 관계자는 “이전보다 의사소통이 원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전 위원장은 대검찰청 고위 간부에게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등 야당 의원을 상대로 지나친 설득 작업을 자제하라”고 압박해 이렇다 할 활동을 하지 못한 경험을 떠올리면서다. 경찰 관계자도 “박 전 위원장처럼 개혁 의지가 강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