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개발자도 꺼렸던 '구멍난' 디스플레이가…"갤럭시S10을 진화시켰다"
입력
수정
삼성, 14일 갤럭시S10 디스플레이 기술설명회
"인피니티-O 디스플레이 개발 과정 쉽지 않아"
"리스크 감수한 도전…결과적으로 성공"
양병덕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디스플레이개발 상무는 14일 서울 태평로 기자실에서 열린 갤럭시S10 디스플레이 기술 설명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양 상무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는 새 변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과 직접 느끼진 못해도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 등 두 가지 방향을 고려해 개발된다”며 “전면 카메라를 제외한 스마트폰의 전면을 디스플레이로 채운 인피니티-O 디스플레이는 진정한 풀 스크린 경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양 상무는 인피니티-O 디스플레이 개발 과정이 쉽지 않았다고 털어놨다. 유기물인 OLED는 습기에 매우 취약하다. 렌즈 구멍을 만들기 위해 중간에 구멍을 뚫으면 습기가 들어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기술이 동원됐다. 또 카메라의 성능과 전면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최소의 구멍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양 상무는 “디스플레이 개발자 사이에서도 인피티니-O 디스플레이 구현 여부를 두고 많은 논란이 있었다”며 “갤럭시S10이라는 기념비적인 모델을 앞두고 리스크를 감수한 도전을 택했다. 결과적으로 성공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갤럭시S10에는 전작까지 적용된 슈퍼 아몰레드를 한 단계 진화시킨 다이내믹 아몰레드 디스플레이가 처음 적용됐다. 세계 최초로 HDR10+ 규격 인증을 받았으며, 동영상을 장면별로 분석해 최적의 화면을 제공하는 다이내믹 톤 매핑 기술도 지원한다. 특히 망막을 손상시키는 블루 라이트를 이전 디스플레이 대비 약 42% 감소시켰다.
양 상무는 “블루 라이트를 감소시키기 위해 최신 유기물을 사용하고, 소프트웨어를 새로 개발했다”며 “특히 블루 라이트 감소에도 기존과 동일한 색감을 보여주기 위해 10개국 2000여명의 사람에게 컬러 선호도를 조사했다”고 말했다.
갤럭시S10의 디스플레이는 색 표현력의 정확도도 높아졌다. 색 표현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JNCD 값은 갤럭시 S10 0.4로 갤럭시 노트9(0.5), 갤럭시 S9(0.7)과 비교해 개선됐다.
양 상무는 ”갤럭시S10의 성공은 인피니티-O 디스플레이의 변화를 소비자가 인정한 결과로 본다“며 ”궁극적으로 카메라 구멍까지 디스플레이로 채우는 풀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해 노력 중이다. 다만 개발자나 소비자 모두 만족할 때 신기술이 적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진욱 한경닷컴 기자 showgun@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