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진흥공사, 5000억 실탄 조달…해운업체 지원 본격화
입력
수정
지면B7
이달 말 첫 채권 발행나서
21일 기관 대상 수요예측 진행
대규모 조달 ‘신호탄’1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해양진흥공사는 이달 말 5000억원 규모 채권을 공모로 발행할 계획이다. 5년물 2000억원, 30년물 3000억원으로 나눠 발행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오는 21일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30년물의 공모 발행은 지난해 4월 한국남동발전 이후 두 번째다.
해양진흥공사의 납입자본금 3조1000억원 중 2조9000억원이 통합대상이던 한국선박해양(1조원)과 한국해양보증보험(5500억원)의 자본금, 정부가 출자한 항만공사 지분(1조3500억원) 등 현물로 채워져 있다.이런 이유로 해양진흥공사는 지난해 8월 말 국내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AAA)을 받고 채권 발행을 준비해왔다. 해양진흥공사법에 따르면 이 공사는 자본금의 네 배까지 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 법적으론 이번 채권 발행 후에도 추가로 11조원 이상의 채권을 발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IB업계에선 해양진흥공사가 이번 채권 발행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끌어모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월엔 기존 선박을 매입한 뒤 이를 다시 저렴하게 재용선해주는 ‘세일 앤드 리스백’을 받을 국내 7개 해운사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해양진흥공사는 이들 7개사에 대한 심사를 마치는대로 총 500억~6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 두 차례 더 이 같은 방식으로 해운사들에 유동성을 공급할 계획이다.
지난달 말에는 대한해운의 선박 구매에 힘을 보탰다. 대한해운이 국내 조선사에 발주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2척을 구매하는 데 178억원 규모의 보증을 서기로 했다. 대한해운은 해양진흥공사의 보증에 힘입어 하나은행을 통해 후순위대출 금리를 크게 낮추는 데 성공했다. 선순위대출은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BNP파리바가 맡았다.현대상선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도입 프로젝트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는 평가다. 현대상선은 지난해 9월 말 2만3000TEU급 12척과 1만4000TEU급 8척을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대형 조선사 세 곳에 발주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해양진흥공사는 산업은행과 함께 약 3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선박 구매비용 중 상당금액을 지원하기로 했다. 산은은 지난해 10월 현대상선이 발행한 신주인수권부사채(6000억원)와 영구 전환사채(4000억원)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우선 1조원을 투입했다. 해양진흥공사가 어떤 구조로 현대상선의 선박금융을 지원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