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지진·지열발전소 연관 발표에 시민들 "실험대상이냐" 발끈

물 주입 후 지진 잇따라 "정부·전문가 연관성 알고 있었다" 주장
2017년 11월 15일 경북 포항에서 난 규모 5.4 지진이 포항지열발전소와 관련이 있다는 결론이 나자 포항시민들은 "실험대상이 됐다"며 발끈했다.

이와 함께 정부가 지열발전소 건립과 운영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0일 포항시 등에 따르면 정부와 일부 기업은 2011년부터 포항시 북구 흥해읍 남송리에 지열발전소를 건립해 왔다.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넥스지오 등이 컨소시엄을 꾸려 사업에 나섰다.

포항지열발전소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인공 저류 지열발전 방식(EGS)으로 ㎿급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었다.

EGS는 지열발전에 필요한 온도에 이를 때까지 시추장비를 이용해 강한 수압으로 물을 주입해 암석을 깨뜨린 뒤 인공적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인 저류 층을 만드는 기술이다.이렇게 만든 인공 저류 층에 물을 넣어 지열로 가열하고 발생한 증기를 이용해 발전소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포항 일대에는 뜨거운 지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 5㎞ 깊이 지하수 온도가 최대 180도에 이르는 등 포항이 비화산지대로는 지열을 이용한 전력 생산에 최적 요건을 갖췄다.지열발전사업 주관 기관인 넥스지오는 지하 4.2∼4.3㎞ 지점에 지열발전정 2개를 시추한 뒤 2016년부터 시운전해 왔다.

그러나 2017년 11월 포항에서 규모 5.4 지진이 난 직후 일부 전문가나 주민은 당시 인근에 건설 중인 지열발전소와 관련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미국이나 스위스 등에서 지열발전소가 땅에 물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단층에 자극을 줘 유발지진이 일어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2016년부터 지열발전소에 물을 주입한 바로 다음 날 기상청이 인근 지역 지진을 몇 차례 감지했다는 산업통상자원부 자료를 근거로 지진 관련 가능성을 제기했다.
산자부 자료에 따르면 지열발전소는 2016년 12월 15∼22일 총 3천681㎥의 물 주입을 마친 다음 날인 12월 23일 포항 북구 북쪽 9km 지역에서 규모 2.2의 지진이 일어났다.

2016년 12월 26∼28일 총 225㎥의 물을 넣은 직후인 29일에도 포항 북구 북쪽 9km 지역에서 다시 규모 2.3의 지진이 발생했다.

2017년 4월 6∼14일 총 1천621㎥의 물을 주입했고, 다음 날인 15일 포항 북구 북쪽 8km 지역에서 규모 3.1과 2.0 지진이 연이어 발생했다.

다만 2017년 8월 30일부터 9월 18일까지 2천334㎥를 주입했을 때는 뒤따른 지진은 없었다.

정부조사연구단에 자문위원으로 참가한 양만재 시민대표는 "유럽학자인 '지아디니' 논문에 따르면 물 투입 이후에 바로 지진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대형지진 발생시기는 물투입 이후 언제인지 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

산자부와 넥스지오는 포항 지진이 발생한 직후에 지열발전소 가동을 중단했다.

그러나 포항시민은 "이미 외국의 지열발전소에서 유발지진이 일어난 점을 상당수 학자나 정부 관계자가 알고 있음에도 지열발전소를 건립한 것이 아니냐"고 의심한다.

포항이 일종의 실험대상이 됐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포항지열발전소 건립과 운영에 관여한 정부 관계자나 전문가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양만재 시민대표는 "정부나 학자, 지열발전소 운영사인 넥스지오는 스위스 바젤에서 지열발전으로 지진이 일어난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포항시민에게 숨겼다"며 "포항시민이 실험대상인지 묻고 싶다"고 성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