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대책 이후 6개월, 집값 상승지도 달라졌다"

지방광역시 오름세 뚜렷해
강남보다 '강북', 서울보다 '경기' 상승세
정부 제 2청사가 몰려 있는 대전 서구 일대. (사진=연합뉴스)
정부 제 2청사가 몰려 있는 대전 서구 일대. (사진=연합뉴스)
9·13대책 발표 이후 전국 집값이 전반적으로 하락·안정되고 있는 가운데, 집값 상승지역이 대폭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9·13대책 발표 이전 6개월 동안에는 상승률이 높은 지역 10개 중 지방권은 전혀 없었지만, 발표 이후 6개월 동안에는 상승률이 높은 지역은 대부분 지방으로 나타났다.

심형석 미국 사우스웨스턴캘리포니아대학(SWCU) 글로벌부동산센터장이 한국감정원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9·13대책 이후 6개월(2018년 9월10일~2019년 3월11일) 동안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1.10% 하락했다.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29% 내렸고, 지방권은 1.75% 떨어졌다.9·13대책 발표 이전 6개월(2018년 3월12일~9월10일)과 비교하면 그 동안 상승세를 보였던 수도권은 하락세(1.28%→-0.29%)로 전환됐다. 지방권은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그 폭은 줄었다. 이전 6개월 동안은 2.32% 떨어졌지만, 이후에는 1.75%의 하락률을 나타냈다.
전반적인 시황은 침체일로지만 세부 지역별로 사정은 달랐다. 수도권 내에서도 강북이 강남 보다 하락세가 덜했다. 강북권의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률은 -0.19%로 강남지역(-1.39%)보다 소폭 하락했다. 경기의 핵심지역인 과천과 분당이 포함된 경부1권은 0.47% 내렸지만, 용인이 포함된 경부2권은 오히려 1.08% 상승했다. 일산(고양시)이 포함된 경의권은 0.30% 상승했다.

9·13대책 발표 이후 6개월 동안 서울에서 아파트 매매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종로구(1.03%), 강북구(0.85%), 성북구(0.47%) 등 강북지역이었다. 경기의 경우에도 구리시(4.90%), 용인시 수지구(3.21%), 고양시 덕양구(3.12%) 등 경부1권 이외 지역이었다.9·13대책 발표 이후 6개월 동안 가장 눈에 띄게 상승한 지방권에서는 대전 서구(5.42%)였다. 대전 서구는 집값이 급등하고 주택 청약 시장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최근 있었던 '대전 아이파크시티' 주택 청약에서 1960가구 모집에 10만6786명이 청약에 참여했다.

지방 도시들은 상승률 상위권을 싹쓸이했다. 2위의 경기 구리시(4.90%)와 7·8위의 용인시 수지구(3.21%), 고양시 덕양구(3.12%)만 간신히 이름을 올렸다. 서울은 아예 10위권에 없었다. 나머지 순위는 지방에 몰렸다.
특히 광역시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거셌다. 대구 중구(4.67%)가 상승률 3위를 차지했고, 대전 유성구(3.89%), 대구 수성구(3.65%), 광주 남구(3.28%) 등이 4~6위에 이름을 올렸다. 9위는 광주 서구(3.10%)였고, 전남 광양시(3.06%)는 10위로 광역시가 아닌 지방도시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는 9·13대책 발표 이전 6개월 동안에는 서울과 수도권의 집값 강세가 절대적이었다. 10위권에 지방은 아예 명단에 없었고, 서울·수도권만 상승세가 집중됐다. 당시 1위는 경기 광명시(7.74%)였고 서울 동작구(6.40%), 경기 하남시(5.72%)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심 교수는 이러한 지역별 상승차별화가 '격차 줄이기'라고 해석했다. 그는 "9·13대책 발표되면서 수도권과 지방권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격차가 줄었고,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보다 경기가 많이 오르고 있다"며 "올해 이 같은 추이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심 교수는 "이러한 추세가 본격적인 침체국면의 시작인지, 하반기 상승세의 시작인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1순위 청약에 10만여 명이 몰린 대전 서구 도안동 ‘대전아이파크시티’ 모델하우스. HDC현대산업개발 제공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