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천t 더 쌓이는데…' 수도권 매립지 2024년말 포화 전망
입력
수정
추가매립지 조성에 7년 소요되는데 대체매립지 선정 난항"바람이 불면 매립장에서 비닐이 어마어마하게 날아옵니다."21일 인천시 서구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장에서 만난 김력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매립관리처 계장은 "과거 재활용으로 분리되던 폐비닐류가 생활폐기물로 처리되면서 폐기물 반입량이 증가했다"며 "1인 가구 증가와 소각장 노후화 등도 반입량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어 걱정된다"고 말했다.
최근 수도권매립지에 하루 평균 반입되는 폐기물량은 1만3천t 수준. 설계 당시 예상했던 1만2천t보다 매일 폐기물 1천t이 추가로 들어오고 있는 셈이다.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장 포화에 따라 지난해 9월 운영을 시작한 수도권매립지 제3-1매립장은 전체 반입 가능 총량 1천820만여t 가운데 7.7%에 해당하는 140만여t이 이달 16일 기준 이미 반입된 상태다.이날 2매립장 밑으로 내려다보이는 3-1매립장 곳곳에는 사각형 모양의 초록색 망이 깔려 있었다.
모두 16개 블록 가운데 6.5개가 1단 매립이 끝나 '비산먼지 차단망'을 깔아놨다.
앞으로 16개 블록이 모두 8단 매립을 완료하면 3-1매립장은 포화상태가 된다.김 계장은 "5년간 폐기물 반입량 평균치로 보면 계획했던 2025년 8월 이전인 2024년 11월에는 3-1매립장이 포화상태에 이를 수 있다"며 "추가 매립장을 조성하려면 최소 7년 정도가 필요한데 지금부터 매립장 기반공사를 시작해도 늦은 상황"이라고 말했다.그러나 수도권매립지에 추가 매립장을 조성하는 것은 현재로선 불가능하다.
인천시가 3-1매립장 사용 기간인 2025년 8월에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종료하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이다.2015년 6월 환경부·서울·경기·인천 등 4자협의체는 수도권매립지 3-1매립장을 추가 사용하되, 매립장 사용이 끝날 때까지도 대체매립지를 확보하지 못할 땐 매립지 잔여부지의 최대 15%(106만㎡) 범위에서 추가 사용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을 달았다.
이를 놓고 3-1매립장과 잔여부지 15%를 합치면 약 20년은 더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추론이 나오기도 했으나 인천시는 추가 매립장 조성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매립지를 수도권 지역에 조성하는데도 난항이 예상된다.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3개 시·도가 공동으로 진행한 '대체매립지 후보지 선정에 관한' 연구 용역은 이달 19일로 과업 기간이 종료돼 최종보고서가 제출됐으나 후보지 주민들의 반발 등을 우려해 내용조차 공개하지 못하고 있다.
대체매립지 후보지로 인천 영종도 등 일부 지역이 언급되자 해당 지역 주민들은 일찌감치 '반대투쟁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단체행동을 예고했다.
수도권 3개 시·도는 용역 결과만 받았을 뿐 앞으로 대체매립지 대상지를 선정할 방식조차 결정하지 못한 상태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연구 용역에서 인천과 경기도에 대체매립지로 적정한 복수의 후보지가 명시됐으나 이를 어떤 식으로 발표하고 추진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며 "결과를 토대로 공모를 진행할 수도 있고 수도권 3개 시·도가 추가 논의해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매립지공사는 3-1매립장이 포화상태에 도달한 이후 자칫 수도권 지역 폐기물 처리가 어려울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공사 운영위원회에서 후속매립지 관련 타당성 조사나 기본설계를 시작하는 방안을 먼저 논의해보자고 제안한 상태이다.
후속 수도권매립지 입지 선정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우선 행정절차라도 진행하자는 제안이다.
공사 운영위원회에는 환경부,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3개 시·도, 서울시·인천시·경기도, 지역주민대표, 전문가 등이 참여하며 수도권매립지 운영과 관련한 중요사항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관계자는 "내부 검토 결과 입지 선정 전에 필요한 절차를 밟을 수 있는 것으로 나왔다"며 "수도권의 안정적 폐기물 처리를 위해서라도 일단 필요한 절차를 먼저 진행해놓고 입지 선정 후 조성을 하자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근 수도권매립지에 하루 평균 반입되는 폐기물량은 1만3천t 수준. 설계 당시 예상했던 1만2천t보다 매일 폐기물 1천t이 추가로 들어오고 있는 셈이다.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장 포화에 따라 지난해 9월 운영을 시작한 수도권매립지 제3-1매립장은 전체 반입 가능 총량 1천820만여t 가운데 7.7%에 해당하는 140만여t이 이달 16일 기준 이미 반입된 상태다.이날 2매립장 밑으로 내려다보이는 3-1매립장 곳곳에는 사각형 모양의 초록색 망이 깔려 있었다.
모두 16개 블록 가운데 6.5개가 1단 매립이 끝나 '비산먼지 차단망'을 깔아놨다.
앞으로 16개 블록이 모두 8단 매립을 완료하면 3-1매립장은 포화상태가 된다.김 계장은 "5년간 폐기물 반입량 평균치로 보면 계획했던 2025년 8월 이전인 2024년 11월에는 3-1매립장이 포화상태에 이를 수 있다"며 "추가 매립장을 조성하려면 최소 7년 정도가 필요한데 지금부터 매립장 기반공사를 시작해도 늦은 상황"이라고 말했다.그러나 수도권매립지에 추가 매립장을 조성하는 것은 현재로선 불가능하다.
인천시가 3-1매립장 사용 기간인 2025년 8월에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종료하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이다.2015년 6월 환경부·서울·경기·인천 등 4자협의체는 수도권매립지 3-1매립장을 추가 사용하되, 매립장 사용이 끝날 때까지도 대체매립지를 확보하지 못할 땐 매립지 잔여부지의 최대 15%(106만㎡) 범위에서 추가 사용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을 달았다.
이를 놓고 3-1매립장과 잔여부지 15%를 합치면 약 20년은 더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추론이 나오기도 했으나 인천시는 추가 매립장 조성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매립지를 수도권 지역에 조성하는데도 난항이 예상된다.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3개 시·도가 공동으로 진행한 '대체매립지 후보지 선정에 관한' 연구 용역은 이달 19일로 과업 기간이 종료돼 최종보고서가 제출됐으나 후보지 주민들의 반발 등을 우려해 내용조차 공개하지 못하고 있다.
대체매립지 후보지로 인천 영종도 등 일부 지역이 언급되자 해당 지역 주민들은 일찌감치 '반대투쟁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단체행동을 예고했다.
수도권 3개 시·도는 용역 결과만 받았을 뿐 앞으로 대체매립지 대상지를 선정할 방식조차 결정하지 못한 상태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연구 용역에서 인천과 경기도에 대체매립지로 적정한 복수의 후보지가 명시됐으나 이를 어떤 식으로 발표하고 추진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며 "결과를 토대로 공모를 진행할 수도 있고 수도권 3개 시·도가 추가 논의해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매립지공사는 3-1매립장이 포화상태에 도달한 이후 자칫 수도권 지역 폐기물 처리가 어려울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공사 운영위원회에서 후속매립지 관련 타당성 조사나 기본설계를 시작하는 방안을 먼저 논의해보자고 제안한 상태이다.
후속 수도권매립지 입지 선정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우선 행정절차라도 진행하자는 제안이다.
공사 운영위원회에는 환경부,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3개 시·도, 서울시·인천시·경기도, 지역주민대표, 전문가 등이 참여하며 수도권매립지 운영과 관련한 중요사항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관계자는 "내부 검토 결과 입지 선정 전에 필요한 절차를 밟을 수 있는 것으로 나왔다"며 "수도권의 안정적 폐기물 처리를 위해서라도 일단 필요한 절차를 먼저 진행해놓고 입지 선정 후 조성을 하자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