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집 아니면 파시라"더니…靑·정부 고위직 10명중 3명 '다주택자'
입력
수정
지면A10
고위 공직자 재산변동 신고
국토부 27명 중 11명 '2주택 이상'
이개호, 단독주택 등 5채 신고
홍종학, 60억원 '국무위원 최고'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고위공직자 1873명의 정기 재산변동 사항을 28일 전자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인사혁신처 직원들이 정부서울청사에서 공직자 재산신고 내역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AA.19273503.1.jpg)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8일 공개한 ‘2019년 정기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청와대 수석급 이상과 국무위원 등 고위 공직자 총 29명 중 8명(28%)이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로 주택을 2채 이상 보유하고 있다. 국무위원 중에선 지난해 11월 임명돼 재산공개 대상에서 빠진 조명래 환경부 장관을 제외한 18명 중 6명이 다주택자였다. 무주택자는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과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 등 2명에 그쳤다.
![홍종학 중기부 장관 60억456만원.](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AA.19274239.1.jpg)
부동산정책을 담당하는 국토부 간부와 산하기관 임원 중 다주택자 비율은 40%가 넘었다. 국토부는 27명 중 11명이 2주택 이상 보유자였다. 김현미 장관이 지난해 경기 연천군 단독주택을 팔아 1주택자가 됐지만, 1급 이상 공직자 2명이 세종시 아파트 분양권 등을 포함해 2주택을 신고하면서 다주택자가 지난해보다 오히려 늘어났다. 산하기관 임원 중에서는 최창학 한국국토정보공사 사장, 박상우 LH(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 박종준 한국철도공사 상임감사 등이 다주택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재산 공개에서 직계가족의 재산 공개 거부율은 27.4%로 지난해에 비해 4.4%포인트 감소했다. 공직자윤리법은 독립 생계를 유지할 능력이 있는 직계존비속은 재산 고지를 거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임만규 인사혁신처 윤리복무국장은 “6월 말까지 신고 내역을 심사해 부정한 재산 증식이나 허위신고 등에 대해서는 징계 요청 등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