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주택담보대출 금리, 2년3개월 만에 최저
입력
수정
2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금리가 2년 3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국이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확산하며 주요 지표금리가 하락한 결과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2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 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금리(이하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50%로 전월보다 0.08%포인트 하락했다.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지난해 11월부터 꾸준히 내림세를 나타내 2017년 9월(3.41%)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5년 만기 은행채 등 주요 지표금리 하락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과 집단대출, 보증대출 등의 금리가 떨어졌다. 미국중앙은행(Fed)이 올해는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메시지를 보낸 결과로 한국 기준금리 인상 기대가 사그라진 결과로 풀이된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금리는 연 3.08%로 한 달 전보다 0.04%포인트 하락했다. 2016년 11월(3.0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집단대출 금리(3.11%)도 0.03%포인트 내려 2017년 8월(3.09%) 이후 최저치였다. 보증대출 금리도 3.49%로 0.11%포인트 하락했다.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0.08%포인트 떨어진 4.49%로 집계됐다. 예·적금 담보대출 금리는 0.02%포인트 내린 3.24%였다. 500만원 이하 소액대출 금리만 0.12%포인트 오른 4.56%를 기록했다.기업대출 금리도 0.03%포인트 하락한 3.78%로 집계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각각 0.02%포인트, 0.07%포인트 내린 3.56%, 3.93%로 집계됐다.
2월 전체 예금은행의 대출 평균 금리는 0.03%포인트 내린 3.70%를 기록했다.
저축성 수신금리는 0.07%포인트 떨어진 1.93%였다. 이에 대출금리와 저축성 수신금리의 차는 0.04%포인트 벌어진 1.77%포인트를 나타냈다.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말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관리 등을 위한 자금조달 유인이 해소돼 저축성 수신 금리가 하락했다"며 "2월 신규 취급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 비중은 44.3%로 2016년 10월(45.7%) 이후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2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 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금리(이하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50%로 전월보다 0.08%포인트 하락했다.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지난해 11월부터 꾸준히 내림세를 나타내 2017년 9월(3.41%)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5년 만기 은행채 등 주요 지표금리 하락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과 집단대출, 보증대출 등의 금리가 떨어졌다. 미국중앙은행(Fed)이 올해는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메시지를 보낸 결과로 한국 기준금리 인상 기대가 사그라진 결과로 풀이된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금리는 연 3.08%로 한 달 전보다 0.04%포인트 하락했다. 2016년 11월(3.0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집단대출 금리(3.11%)도 0.03%포인트 내려 2017년 8월(3.09%) 이후 최저치였다. 보증대출 금리도 3.49%로 0.11%포인트 하락했다.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0.08%포인트 떨어진 4.49%로 집계됐다. 예·적금 담보대출 금리는 0.02%포인트 내린 3.24%였다. 500만원 이하 소액대출 금리만 0.12%포인트 오른 4.56%를 기록했다.기업대출 금리도 0.03%포인트 하락한 3.78%로 집계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각각 0.02%포인트, 0.07%포인트 내린 3.56%, 3.93%로 집계됐다.
2월 전체 예금은행의 대출 평균 금리는 0.03%포인트 내린 3.70%를 기록했다.
저축성 수신금리는 0.07%포인트 떨어진 1.93%였다. 이에 대출금리와 저축성 수신금리의 차는 0.04%포인트 벌어진 1.77%포인트를 나타냈다.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말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관리 등을 위한 자금조달 유인이 해소돼 저축성 수신 금리가 하락했다"며 "2월 신규 취급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 비중은 44.3%로 2016년 10월(45.7%) 이후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