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광역시 1곳 선정해 서울·제주 이어 세계적 관광도시로 키울 것"
입력
수정
지면A8
문 대통령, 국가관광전략회의 첫 주재문재인 대통령은 2일 “광역자치단체 한 곳을 서울과 제주에 이은 세계 관광도시로 키우고, 기초자치단체 네 곳을 지역 관광 허브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2022년 외래관광객 2300만명
일자리 96만개 창출"
문 대통령은 이날 인천 송도의 한옥호텔 경원재에서 열린 확대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관광산업은 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이 2017년부터 매년 열린 이 회의에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무총리 주관으로 열리던 국가관광전략회의를 직접 주재해 ‘관광산업 부활’에 강한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관광업계는 문재인 정부 들어 관광진흥비서관 직책을 없애고 국가관광전략회의에 대통령이 불참해온 점 등을 들어 관광홀대론을 제기해왔다.▶본지 3월 16일자 A9면 참조
中보다 뒤진 관광경쟁력문 대통령이 직접 관광산업 대수술에 나선 것은 악화된 관광지표와 고용지표 탓이다. 2016년 1724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외국인 관광객은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등의 영향으로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관광수지는 2001년 이후 17년째 적자 상태다.
문 대통령은 “한국이 지닌 매력을 충분히 살린다면 관광수지 흑자 국가로 발전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한 정부의 강력한 지원 의지를 밝혔다. 특히 “관광은 세계 3대 수출산업 중 하나”라며 “취업 유발계수가 제조업의 2배가 넘을 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이 우리 제품을 구매할 기회”라고 강조했다. K팝, e스포츠, 비무장지대(DMZ) 등 한국 고유의 관광자원을 활용해 해외관광객을 끌어들이겠다는 구상이다.
관광산업의 산업적 효과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국내 관광산업은 수년째 제자리걸음이다.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하는 국가별 관광경쟁력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한국은 19위로 중국(15위)보다 뒤처져 있다.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 등 대외적인 영향도 있지만 가장 큰 문제점은 부족한 관광 인프라다. 수도권을 조금만 벗어나더라도 외국어 안내 표지가 보이지 않거나 대중교통으로 이동하기 불편한 탓에 관광객들이 선뜻 찾아나서기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관광 패턴도 단조롭다. 국내 관광상품 가운데 ‘시티투어’ 비중은 주요국 평균(26.5%)의 두 배에 달하는 46%에 육박한다. 외국인 관광객의 78.8%가 서울에 몰릴 만큼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하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문 대통령 역시 “관광도 교역이나 해외수주처럼 국제적인 총력 경쟁의 시대에 돌입했다”며 “그 경쟁을 이겨내야 관광수지 흑자 국가로 발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외국인 관광문턱 확 낮춘다
정부는 이날 ‘대한민국 관광 혁신전략’을 통해 2022년까지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을 2300만 명으로 늘리고, 관광산업 일자리를 96만 개 창출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지역’ ‘콘텐츠’ ‘산업’ 3개 혁신 분야를 정하고 5대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관광수요 확대와 글로벌 관광도시 육성에 초점을 맞춘 ‘지역 혁신’ 분야다.글로벌 관광도시는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해 올 연말까지 한 곳을 지정한다는 계획이다. 선정 지역에는 항공·크루즈 노선 확충과 동시에 규제를 완화해 도시형 공유민박 사업을 시범 운영할 방침이다. 기초자치단체 네 곳을 선정하는 관광거점도시는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관광상품 개발과 교통, 숙박 등 인프라 확충, 체류형 관광코스 개발 등이 추진된다.
중국과 동남아시아 관광객을 늘리기 위한 문턱도 낮춘다. 최근 개별관광객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는 중국은 올 상반기 복수비자(5년) 대상지역이 종전 4곳(베이징·상하이·광저우·선전)에서 13곳(샤먼·톈진·난징·항저우·닝보·칭다오 등)으로 확대된다. 베트남과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3개국은 온라인 비자 신청 시스템을 도입한다.
관광객에게 최적의 이동경로와 교통수단을 알려주고 예약·결제 서비스를 한번에 제공하는 통합 교통 플랫폼인 한국형 마스(MaaS)는 올 8월 제주 지역부터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 정부의 예비창업패키지 사업과 창업경진대회에 ‘관광특화’ 분야가 신설된다. 관광 분야 벤처·중소기업이 정부로부터 각종 지원을 받게 된다는 얘기다. 2022년까지 관광벤처 100개를 발굴·육성하고 사업화 자금 지원액도 현재 기업당 2250만원에서 최대 5000만원으로 늘리는 등 창업·성장 단계별 금융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박재원/이선우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