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좋은 하루 되세요"는 문법 어긋나도 흔히 쓰죠~

우리말을 해치는 표현들 (13)

순수하게 어법적 관점에서 살펴보자.
'좋은 하루 되다'는 곰곰이 생각하면 확실히 어색하다.
누가 누구한테 무엇이 되라는 것일까? 논리적으로 성립하지 않는 말이다.

홍성호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10여 년 전 제주시에서 공무원을 대상으로 가장 친절한 전화 인사말이 무엇인지 조사한 적이 있다. “좋은 하루 되세요”가 단연 1위로 꼽혔다. 몇 해 전엔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교 인사말로 “사랑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를 정하기도 했다. 굳이 이런 사례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이미 이 말을 일상에서 자주 쓴다. 동시에 이 말이 우리 어법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 지도 꽤 오래 됐다. 논란의 핵심은 ‘좋은 하루’가 ‘되다’와 결합할 수 있느냐에 있다.문법에 어긋나지만 일상적으로 많이 써

이 말은 우리말의 규범 용법과 현실적 언어 사용 사이에 갈등을 일으키는 대표적 사례다. 우선 순수하게 어법적 관점에서 살펴보자. ‘좋은 하루 되다’는 곰곰이 생각하면 확실히 어색하다. 누가 누구한테 무엇이 되라는 것일까? 논리적으로 성립하지 않는 말이다.

‘물이 얼음이 되다’라고 한다(동사 ‘되다’는 다른 용법도 많지만 이 표현이 전형적인 쓰임새다). 즉 ‘A가 B(가) 되다’ 꼴인데 이런 문장 형태를 문법적으로는 보문이라 한다. 이때 B를 보어라 하고, A와 B는 동격 구조를 이룬다. 그렇다면 철수한테 ‘좋은 하루 되세요’라고 하면 ‘철수=좋은 하루’가 돼야 하는데 이런 말은 성립하지 않는다. 이 표현이 어색한 느낌을 주는 것은 여기에서 오는 것이다. ‘되다’를 무분별하게 남용한 셈이다. 분명 쓰는 말이긴 하되 과학적으로, 이치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물론 말이란 항상 논리적으로만 따질 일은 아니다. 방송에서 이 말을 썼다면 이는 “시청자 여러분, 오늘 하루가 (당신에게) 좋은 하루가 되기를 바랍니다”라고 할 말을 푹 줄여 쓴 말일 것이다. 어법적으로는 “좋은 하루(를) 보내십시오”라고 해야 올바른 표현이 된다는 주장이다. 우리말 용법을 엄격하게 다루는 이들이 이 표현을 부정하는 것은 그런 까닭이다.

언어의 ‘친교적 기능’ 극대화된 말

이 말을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면 수용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진다. “좋은 하루 되세요”는 굳이 대답을 들으려고 하는 말이 아니다. 친교적 기능을 수행하는 상투어에 해당한다. 우리는 일상에서 수많은 의례적 표현을 주고받는다. “나중에 연락할게”, “언제 밥 한번 먹자”, “다음에 한번 보자”…. 이들은 꼭 실현되지 않아도 좋은, 이른바 ‘예의상 멘트’라 할 수 있다. 이런 말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는데, 바로 대인관계를 원활히 유지해주는 것이다. 수사학자 올리비에 르불은 이를 언어의 6가지 기능 중 ‘친교적 기능’이라고 했다. 상투어는 이 친교적 기능이 극대화된 것이다.이런 범주의 말은 굳이 의미나 어법을 따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가령 “건강하세요”도 그런 말들 중 하나다. ‘건강하다’는 형용사라 ‘건강하거라, 건강하세요’ 식의 명령이나 청유형으로 쓸 수 없지만 실제론 흔히 쓴다. 문법을 벗어났으나 현실적인 용법이다. ‘좋은 하루 되세요’도 상대에게 ‘좋은 하루가 되길 바란다’ 식의 주문이고 기원이라 할 수 있다.

영어를 옮긴 표현이란 지적도 극복해야 할 과제다. 우리 표준언어예절(국립국어원, 2011년)에서는 인사말 ‘좋은 아침’도 영어를 직역한 것이라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말이 나오고 문법이 나온 것이지, 문법이 먼저 있어서 말을 맞추는 게 아니다. 언젠가는 압도적인 다수가 “좋은 하루 되세요”를 쓴다면 그게 문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어느 쪽이든 인위적으로 규정할 필요는 없다. 시간이 걸린다. 자유로운 ‘언어의 시장’에서 언중이 무엇을 선택할지 지켜볼 일이다. 다만 전후 사정은 알고 쓰자.

hymt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