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효자된 '반값 수상태양광'
입력
수정
지면A9
3년여간 민관 연구개발우리나라는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 등 때문에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 좁은 국토, 높은 산지 비중, 주민 반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물 위를 활용하는 방안이다. 바다나 호수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발전은 활용 가능한 면적이 넓고 주민 반대도 상대적으로 덜해서다.
中보다 발전시스템 단가 낮춰
해상 태양광도 2023년 사업화
산업통상자원부와 에너지기술평가원도 이런 점을 인식해 2015년부터 관련 연구개발(R&D)에 매진해왔다. 눈에 보이는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호수, 저수지 등에 설치하는 수상태양광 분야가 대표적이다.평가원과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민간 기업인 LS산전, 스코트라, 오토렉스 등은 2015년 6월부터 시작한 ‘수상태양광 발전 시스템 표준화 및 단가 절감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발전 시스템 단가를 ㎾당 종전의 350만원에서 160만원까지 낮추는 데 성공했다. 180만원 수준인 중국 대만 등 외국 수상태양광 시스템보다 가격 경쟁력이 높다.
경제성이 확보되자 자연스레 사업화 확대로 이어졌다. LS산전, 스코트라 등은 2017년 말부터 수상태양광 계약을 따내기 시작해 총 55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수출길도 열었다. 작년 11월 스코트라는 대만으로부터 7.25㎿ 규모의 수상태양광 부유체 사업을 수주했다. 수주액은 30억원이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2.8GW 규모의 새만금 수상태양광 개발 계획도 단가 절감 등 성과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다음 도전 과제는 해상 태양광·풍력이다. 바다 위에 짓는 재생에너지 발전은 파도와 염분, 조석 차 등 때문에 호수나 저수지보다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다. 평가원은 14개 민간기업, 공공기관, 대학 등과 함께 작년 6월부터 해상태양광 시스템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국비 189억원, 민간 80억8000만원 등 총 269억8000만원을 투입한다. 2023년 사업화가 목표다.풍력 분야에선 먼바다에 건설하는 부유식 해상풍력 R&D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6월 5㎿급 부유식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계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부유식 해상풍력은 국내 잠재량이 48.7GW나 돼 미래 먹거리로 꼽힌다”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