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소득 양극화, 임금근로자보다 심해져"
입력
수정
지면A13
中企硏, 자영업 불평등 분석자영업 전체 사업 소득의 절반 이상이 5분위(상위 20%)에 집중되고 1분위(하위 20%) 소득이 줄어드는 소득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 위기의 한계 자영업자에게 부채 관리, 생계 지원 같은 사회안전망을 제공하는 등 계층·연령별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전체 자영업 소득의 절반 이상
고소득 5분위 업자에게 집중
저소득 업자는 부채 부담 커
중기연은 자영업 소득 불평등 요인으로 교육 수준과 연령을 꼽았다. 학력이 높을수록 평균 사업소득이 높아지고, 연령대로는 60대 이상에서 소득 격차가 커지는 소득 불평등이 심화된다는 것이다.
자영업자 중 1분위 저소득층은 갚아야 할 부채 부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1분위 자영업자의 부채비율은 714%로 높은 반면 5분위는 189%에 그쳤다.나수미 중기연 부연구위원은 “자영업 정책 대상을 한계 자영업자(1분위), 기회 자영업자(5분위), 실버 자영업자(60대 이상) 등 세 집단으로 나눠 맞춤형 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계 자영업자 집단은 교육 수준이 낮고 부채 부담이 심각해 사회복지 관점에서 재취업과 부채 관리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는 자영업 진입의 속도 조절을 통해 재교육과 재취업 중개에 정책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소득 5분위 자영업자 집단에는 생산성 향상과 고용 신규 창출을 유도하기 위해 전자상거래 및 디지털화 교육 서비스 제공을 비롯해 새로운 사업 모델과 시장을 개척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