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늘 이사 "고급물 소비 유행…물 연구 발전가능성 무궁"
입력
수정
지면A32
국내 대표 '워터 소믈리에'물도 돈이 되는 시대다. 지난해 국내 물 시장 규모는 1조2000억원을 넘어섰다. 시판되는 생수만 해도 국내 브랜드가 200여 개, 해외 브랜드가 300여 개에 달한다. 한 병에 10만원이 넘는 생수마저 등장했다. 물을 다루는 ‘워터 소믈리에(Water Sommelier)’도 주목받고 있다. 워터 소믈리에는 음식이나 개인 취향에 맞춰 어울리는 물을 추천해주는 전문직업이다.
김하늘 이사의 물산업 예찬
물 추천 전문직업 워터 소믈리에
2014 세계대회 우승…이름 알려
국내 대표 워터 소믈리에인 김하늘 더좋은물 이사(사진)는 10일 “물은 모든 사람이 매일 마시는 필수불가결한 음료지만 세계적으로 물 연구를 시작한 건 30여 년 전에 불과하다”며 “그만큼 희소성 있고 발전 가능성이 높은 분야”라고 밝혔다. 더좋은물은 그가 지난달 설립한 국내 최초의 물 컨설팅 회사다.그의 집무실은 세계 다양한 언어의 라벨이 붙은 수백 종의 생수병으로 가득했다. 김 이사는 “몇 년 전부터 프리미엄 물 판매량이 증가하는 등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고 있다”며 “젊은 층 사이에서 고급 물을 마시는 게 유행처럼 자리잡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워터 소믈리에 자격증을 보유한 사람은 600여 명. 이들 중 자신의 이름을 내세워 활발하게 일하는 워터 소믈리에는 10여 명에 불과하다. 일부 워터 소믈리에는 와인 소믈리에 활동을 병행하며 호텔이나 고급 레스토랑에서 일하고 있다. 김 이사는 경희대 외식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한국국제소믈리에협회에서 관련 교육을 받았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의 ‘워터바’에서 근무하며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2014년 워터 소믈리에 경연대회에서 한국 대표로 나서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는 물을 세 가지로 분류했다. 갈증 해소 기능에 충실한 ‘데일리 워터’(매일 마시는 물), 음식과 궁합을 맞춰 마시는 ‘테이블 워터’(식사용 물), 성분 등을 따져서 마시는 ‘힐링 워터’(기능성 물) 등이다. 물도 음식과 궁합이 있다. 김 이사는 “국물 요리나 찌개엔 목넘김이 부드럽고 청량한 연수(軟水·단물), 볶거나 튀긴 음식에는 미네랄 함량이 높은 경수(輕水)가 잘 어울린다”고 설명했다. 미네랄 함량이 무조건 높다고 좋은 건 아니다. 오히려 신장에 무리를 줄 수 있다. 몸 상태와 음식 메뉴에 따라 적합한 물을 고르면 좋다는 얘기다.사람들은 수돗물을 정수해 많이 마시는데 주거지의 하수 처리장, 배관 상태 등에 따라 물맛이 달라진다고 했다. 그렇다면 ‘맛 좋은 물’은 무엇일까. 김 이사는 “블라인드 테스트를 해보니 렌털 업체별로 소비자 선호도가 달랐다”며 “쓴맛과 짠맛이 나거나 약품 냄새가 풍기는 물은 피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