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일대일로 막아라'…미국의 ‘은밀한 작전’ [주용석의 워싱턴인사이드]
입력
수정
미국이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무역로)’ 프로젝트를 막기 위해 ‘은밀한 작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국제개발기구(USAID)는 지난해 경제학자, 외교관, 법률가 등으로 구성된 ‘미국팀’을 파견해 미얀마 정부가 중국 국영 시틱그룹과 체결한 73억달러짜리(약 8조3000억원)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13억달러 규모로 축소시키는걸 도왔다. 중국이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통해 주변국에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시도에 제동을 건 것이다.중국은 당초 미얀마 해안지역 차우크퓨에 73억달러를 투자해 철도, 항만, 산업지역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2015년 미얀마 군사정권과 프로젝트에 합의했다. 하지만 이후 아웅산 수지가 주도하는 미얀마 정부가 들어서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새 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13억달러 규모로 축소했다. 대규모 항만 대신 나중에 확장 가능한 부두 2개만 짓기로 하는 등 사업규모를 확 줄였다.
이 과정에서 ‘미국팀’이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기존 계약 중 미얀마가 ‘부채 함정’에 빠질 우려가 있는 사업들을 제거하도록 조언했다. 당장 필요한 사업 위주로 ‘프로젝트 구조조정’을 한 것이다. 미국은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 과정에서 중국 돈을 빌려쓴 개발도상국들이 과도한 빚을 지고 그 결과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는 ‘부채 함정’을 우려하고 있다.스리랑카가 대표적이다. 스리랑카는 2010년 10억달러 가량의 중국 차관을 들여와 남부 함반토바에 대규모 항만을 지었다. 하지만 항만은 경제성이 떨어졌다. 정박하는 선박이 하루 한 척 정도에 불과할 때도 많았다. 원래 인도양을 오가는 선박을 끌어올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오판이었다. 스리랑카는 빚더미에 올라앉게 됐고, 결국 빚 탕감을 조건으로 2017년 항만 운영권을 99년간 중국 국유 자오상쥐그룹에 넘겼다. 항만 지분 70%도 중국에 넘겼다.몰디브도 ‘일대일로의 덫’에 빠졌다. 몰디브는 2017년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일대일로 사업에 참여했다. 중국계 건설사들이 병원, 철도, 다리 등을 짓고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 비용이 과도하게 부풀려졌다는 비판이 정치권에서 쏟아졌다. 몰디브가 중국에 갚아야할 돈은 30억달러, 몰디브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2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미얀마 작전’은 개도국이 ‘부채 함정’에 빠지는걸 막아 궁극적으로 중국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시도다. ‘미얀마 작전’의 성공을 계기로 미국이 다른 개도국에도 유사한 개입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국제개발기구(USAID)는 지난해 경제학자, 외교관, 법률가 등으로 구성된 ‘미국팀’을 파견해 미얀마 정부가 중국 국영 시틱그룹과 체결한 73억달러짜리(약 8조3000억원)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13억달러 규모로 축소시키는걸 도왔다. 중국이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통해 주변국에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시도에 제동을 건 것이다.중국은 당초 미얀마 해안지역 차우크퓨에 73억달러를 투자해 철도, 항만, 산업지역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2015년 미얀마 군사정권과 프로젝트에 합의했다. 하지만 이후 아웅산 수지가 주도하는 미얀마 정부가 들어서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새 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13억달러 규모로 축소했다. 대규모 항만 대신 나중에 확장 가능한 부두 2개만 짓기로 하는 등 사업규모를 확 줄였다.
이 과정에서 ‘미국팀’이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기존 계약 중 미얀마가 ‘부채 함정’에 빠질 우려가 있는 사업들을 제거하도록 조언했다. 당장 필요한 사업 위주로 ‘프로젝트 구조조정’을 한 것이다. 미국은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 과정에서 중국 돈을 빌려쓴 개발도상국들이 과도한 빚을 지고 그 결과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는 ‘부채 함정’을 우려하고 있다.스리랑카가 대표적이다. 스리랑카는 2010년 10억달러 가량의 중국 차관을 들여와 남부 함반토바에 대규모 항만을 지었다. 하지만 항만은 경제성이 떨어졌다. 정박하는 선박이 하루 한 척 정도에 불과할 때도 많았다. 원래 인도양을 오가는 선박을 끌어올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오판이었다. 스리랑카는 빚더미에 올라앉게 됐고, 결국 빚 탕감을 조건으로 2017년 항만 운영권을 99년간 중국 국유 자오상쥐그룹에 넘겼다. 항만 지분 70%도 중국에 넘겼다.몰디브도 ‘일대일로의 덫’에 빠졌다. 몰디브는 2017년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일대일로 사업에 참여했다. 중국계 건설사들이 병원, 철도, 다리 등을 짓고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 비용이 과도하게 부풀려졌다는 비판이 정치권에서 쏟아졌다. 몰디브가 중국에 갚아야할 돈은 30억달러, 몰디브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2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미얀마 작전’은 개도국이 ‘부채 함정’에 빠지는걸 막아 궁극적으로 중국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시도다. ‘미얀마 작전’의 성공을 계기로 미국이 다른 개도국에도 유사한 개입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