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에 부는 '의료 韓流'…가천대, 의대 교육 프로그램 수출
입력
수정
지면A2
가천대, 교수 선발·입시 과정 설계
6년간 200만달러 받기로

가천대 의대는 올해 9월 세워지는 우즈베키스탄 아크파메드라인병원 부속 의대에 교육 프로그램 등을 수출했다고 11일 발표했다. 국내 40개 의대 중 교육 프로그램을 수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즈베키스탄 첫 사립 의대로 설립되는 이 의대는 한 학년에 200명의 학생을 선발한다. 가천대 의대는 앞으로 6년간 교육 프로그램을 전수하고 200만달러를 받는다. 정명희 이길여암당뇨연구원장 등이 이달부터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 머물며 의대 입시, 교수 선발, 교육 프로그램 과정 등을 설계한다.가천대 의대는 이번 수출이 4년여에 걸친 교류의 성과라고 설명했다. 가천대 길병원과 가천대, 가천대 의대는 2014년부터 우즈베키스탄과 교류를 시작했다. 2015년에는 우즈베키스탄 복지부 관계자들이 가천대 길병원을 방문하기도 했다. 병원 관계자는 “국립아동병원과 의대 건립을 모색하던 우즈베키스탄 정부 관계자들이 당시 길병원 의료시스템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이를 계기로 2017년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배 단장은 “옛 소련 시절부터 타슈켄트국립의대가 유명했을 정도로 우즈베키스탄은 러시아권 국가 중 의료 수준이 높은 곳”이라며 “한국 의료기술을 접하면서 임상 수준을 더 높여야 한다는 수요가 커졌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