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사람 금융백서] "서울 직장인 월 358만원 받아 246만원 쓴다"
입력
수정
저녁 7시 이후 지하철 탑승 줄고, 초저녁 소비 늘어
서울시 직장인은 평균 358만원을 월급으로 벌어 246만원을 쓰는 것으로 집계됐다.신한은행은 16일 발표한 '2019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서 이 같은 내용의 '서울시 직장인 금융지도'를 공개했다.
은행 급여 이체 고객(서울시 거주 94만명), 카드 거래 고객(서울시 거주 직장인 100만명), 조사 참여 고객(전국 만 20∼64세 경제생활자 1만명)의 금융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다.◇ 서울시 직장인 월평균 급여소득 358만원·소비 246만원
지난해 서울시 직장인의 급여소득은 평균 358만원으로, 전년보다 4.1% 증가했다.급여 수준이 제일 높은 지역은 중구(407만원), 종로구(403만원), 영등포구(393만원)이었다.
증가율로 보자면 동대문구(7.0%), 강서구(6.8%), 도봉구(6.4%) 순으로 높았다.
전문직 직장인의 월급은 평균 377만원으로, 일반 직장인(299만원)보다 78만원 많았다.서울시 직장인의 월평균 소비액은 246만원이었다.
전년보다 6.6% 많다.
소비 수준이 제일 높은 지역은 서초구(330만원), 강남구(326만원), 용산구(287만원)이었다.증가율은 강북구(9.2%), 금천구(8.6%), 강서구(7.8%)가 높았다.
소비 수단은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신용카드는 40대(192만원)와 50대(176만원)에서 사용량이 가장 많았고, 현금인출은 60대(117만원)·50대(94만원)·40대(69만원) 등 연령대별로 사용 금액에 차이가 컸다.
체크카드 사용량은 최고 47만원(20대), 최소 32만원(60대) 등 모든 연령대에서 비교적 고르게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퇴근시간 빨라지고 오후 6∼9시 소비 늘어
주 52시간제 도입 등으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가치관이 자리를 잡아가면서 서울시 직장인의 생활 패턴과 소비 방식에도 변화를 보였다.
오후 7시 이후 서울 지하철에 탑승한 비율은 2017년 하반기 53.1%에서 2018년 하반기 50.3%로 낮아졌다.
반면 오후 5∼7시에 지하철에 타는 비중은 46.9%에서 49.7%로 증가했다.
평일 문화예술 공연장 주변의 외식 이용도 늘었다.
예컨대 용산구에 있는 A공연장 반경 200m 내에 있는 외식·커피 업종의 2018년 이용 건수는 월∼금요일 최소 13%에서 최대 3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토요일은 10%, 일요일엔 6%씩 감소했다.'초저녁 소비'도 늘었다.
다양한 업종에서 오후 6∼9시 소비 증가율이 다른 시간대에 비교해 높았다.
이 시간대 이용금액 증가율은 편의점 6.7%, 배달앱 73.9%, 볼링장 4.8%로 그 밖의 시간(각각 2.8%, 68.4%, 0.6%)보다 높았다.
이용층의 성격도 달라졌다.
초저녁 시간대 편의점 이용자는 실버층(31.2%)과 성인 자녀를 둔 경우(22.2%)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배달앱 역시 신혼(76.0%), 영유아 자녀를 둔 경우(78.0%), 청소년 자녀를 둔 경우(85.7%) 증가율이 특히 높았다.보고서는 "싱글이 주를 이루던 초저녁 소비가 자녀가 있는 라이프 스테이지로 점차 확대했다"고 해석했다.
/연합뉴스
서울시 직장인은 평균 358만원을 월급으로 벌어 246만원을 쓰는 것으로 집계됐다.신한은행은 16일 발표한 '2019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서 이 같은 내용의 '서울시 직장인 금융지도'를 공개했다.
은행 급여 이체 고객(서울시 거주 94만명), 카드 거래 고객(서울시 거주 직장인 100만명), 조사 참여 고객(전국 만 20∼64세 경제생활자 1만명)의 금융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다.◇ 서울시 직장인 월평균 급여소득 358만원·소비 246만원
지난해 서울시 직장인의 급여소득은 평균 358만원으로, 전년보다 4.1% 증가했다.급여 수준이 제일 높은 지역은 중구(407만원), 종로구(403만원), 영등포구(393만원)이었다.
증가율로 보자면 동대문구(7.0%), 강서구(6.8%), 도봉구(6.4%) 순으로 높았다.
전문직 직장인의 월급은 평균 377만원으로, 일반 직장인(299만원)보다 78만원 많았다.서울시 직장인의 월평균 소비액은 246만원이었다.
전년보다 6.6% 많다.
소비 수준이 제일 높은 지역은 서초구(330만원), 강남구(326만원), 용산구(287만원)이었다.증가율은 강북구(9.2%), 금천구(8.6%), 강서구(7.8%)가 높았다.
소비 수단은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신용카드는 40대(192만원)와 50대(176만원)에서 사용량이 가장 많았고, 현금인출은 60대(117만원)·50대(94만원)·40대(69만원) 등 연령대별로 사용 금액에 차이가 컸다.
체크카드 사용량은 최고 47만원(20대), 최소 32만원(60대) 등 모든 연령대에서 비교적 고르게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퇴근시간 빨라지고 오후 6∼9시 소비 늘어
주 52시간제 도입 등으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가치관이 자리를 잡아가면서 서울시 직장인의 생활 패턴과 소비 방식에도 변화를 보였다.
오후 7시 이후 서울 지하철에 탑승한 비율은 2017년 하반기 53.1%에서 2018년 하반기 50.3%로 낮아졌다.
반면 오후 5∼7시에 지하철에 타는 비중은 46.9%에서 49.7%로 증가했다.
평일 문화예술 공연장 주변의 외식 이용도 늘었다.
예컨대 용산구에 있는 A공연장 반경 200m 내에 있는 외식·커피 업종의 2018년 이용 건수는 월∼금요일 최소 13%에서 최대 3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토요일은 10%, 일요일엔 6%씩 감소했다.'초저녁 소비'도 늘었다.
다양한 업종에서 오후 6∼9시 소비 증가율이 다른 시간대에 비교해 높았다.
이 시간대 이용금액 증가율은 편의점 6.7%, 배달앱 73.9%, 볼링장 4.8%로 그 밖의 시간(각각 2.8%, 68.4%, 0.6%)보다 높았다.
이용층의 성격도 달라졌다.
초저녁 시간대 편의점 이용자는 실버층(31.2%)과 성인 자녀를 둔 경우(22.2%)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배달앱 역시 신혼(76.0%), 영유아 자녀를 둔 경우(78.0%), 청소년 자녀를 둔 경우(85.7%) 증가율이 특히 높았다.보고서는 "싱글이 주를 이루던 초저녁 소비가 자녀가 있는 라이프 스테이지로 점차 확대했다"고 해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