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에 만나는 북러 정상, '이념' 대신 '경제협력'에 관심

北, 경제협력 확대로 제재 '돌파구' 모색…러시아는 극동지역 개발
러시아 개방개혁으로 멀어진 북러, 경제협력 고리로 관계 회복

과거 냉전시기 사회주의 이념으로 밀접한 관계였던 북한과 러시아가 8년 만에 열리는 정상회담을 통해 국제사회의 제재에도 경제협력을 이어가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북한은 러시아와의 교류를 통해 제재 돌파구를 모색할 것으로 보이며, 러시아는 극동지역 개발과정에서 북한의 협력을 바라는 상황이어서 한때 소원해진 양국 관계가 경제적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조금씩 복원되는 모습이다.

크렘린궁은 18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월 하반기에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만난다고 공식 발표했다.

양국은 회담 의제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북한이 대북제재로 고전하는 점에 비춰 러시아와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중국이 미국과 무역전쟁으로 북한을 지지할 여력이 부족해지면서 그동안 유엔의 제재 완화를 촉구하는 등 꾸준히 북한 편에 서온 러시아의 도움이 더 필요해진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북한의 비핵화 논의에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라도 북한의 경제협력 요구를 외면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임강택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은 "그동안 비핵화 논의에서 배제된 러시아가 앞으로 개입할 여지를 만들 필요성 때문이라도 북한의 도움 요청에 어느 정도 부응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하지만 그동안 이뤄진 협력 수준보다 더 진전되기에는 여러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러시아 입장에서는 북한과의 경제협력이 푸틴 대통령이 역점을 두는 극동지역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인구가 부족하고 낙후한 극동지역 개발은 외화벌이를 위해 해외에 노동자를 파견하는 북한과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다.

한러 양국이 관심을 보이는 남북러 3국 간 전력망·가스관 연결에도 북한의 협조가 필요하다.비핵화와 남북관계 개선으로 동북아 지역이 안정되면 극동지역이 외국기업에 더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한 듯 지난해 러시아와 북한 간 교역이 대북 제재 영향으로 전년 대비 56.3% 감소한 상황에서도 러시아 극동연방관구와 북한 간 교역은 68.5% 성장했다.

이런 경제적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북러 관계는 그동안의 우여곡절을 넘어서며 과거의 관계를 서서히 회복해 가는 모습이다.

사실 러시아는 사회주의 종주국으로 6·25전쟁에도 북한편으로 참전하면서 북러 양국은 혈맹의 관계를 이어갔지만, 냉전이 끝나고 러시아가 개방개혁을 추진하면서 거리가 멀어졌다.

특히 1990년 소련이 한국과 외교관계를 맺으면서 급격히 관계가 악화했으며, 1995년에는 러시아가 '조·소 우호협조 및 호상 원조조약'(군사동맹조약)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정치·군사동맹에 기초했던 특수 관계가 일반적인 국가 관계로 격하된 셈이다.

그러다가 양국은 2000년 7월 푸틴 대통령이 소련 및 러시아 최고 지도자로서는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하고, 2001년 7∼8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러시아를 답방하면서 정상적인 관계로 복원했다.

이후 양국은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와 북한의 철도 연결사업 등 경제협력을 활발하게 추진했고, 2008년부터 러시아 하산과 북한 나진항을 철도로 잇는 나진-하산 철도사업을 하면서 더 가까워졌다.

김정일 위원장은 사망 3개월 전인 2011년 8월에도 러시아를 찾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과 남북러 가스관 사업 등 경제협력 강화를 논의했다.

러시아는 김정은 위원장이 권력을 승계한 이후인 2012년 북러 협력의 최대 걸림돌인 북한의 채무를 90% 탕감하기로 하는 등 본격적인 경제협력 발판을 마련했다.양국은 지난해 3월 평양에 이어 올해 3월 모스크바에서 경제협력위원회를 열고 교역 확대 방안, 교통·운송 분야 협력, 러시아 내 북한 노동자 체류 문제 등을 논의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