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속 '부글부글' 하면 유산균이 도움?…항생제 복용 환자는 조심해야
입력
수정
지면A19
이지현 기자의 생생헬스봄이 되면 배 속이 부글부글하고 더부룩한 느낌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환절기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와 일교차 때문에 소화기계에서 과민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다. 평소 앓고 있던 소화기 궤양이나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이 악화되기도 한다. 이유 없이 피로감이 계속되는 춘곤증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도 늘어난다.
봄철 과민성 대장증후군과 춘곤증
일교차에 놀란 소화기계통
봄나물 섭취로 춘곤증 예방
겨울에서 여름으로 계절이 변하면서 활동량이 늘고 일조량이 바뀌며 몸이 적응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 봄철 환자가 늘어나는 과민성 대장증후군과 춘곤증 등에 대해 알아봤다.더부룩한 증상 주 3회 이상 병원 찾아야
변덕스러운 봄 날씨에 몸도 피로감을 호소한다. 스트레스를 받고 긴장한 인체 장기가 보이는 대표 증상 중 하나가 과민성 대장증후군이다. 복통, 소화불량, 복부팽만감, 설사, 변비 등이 반복되는 질환이다. 소화가 안 되고 자꾸 아랫배에 가스가 차는 증상을 호소하거나 배에서 부글거리는 소리가 나는 환자도 많다. 조금만 스트레스를 받아도 배가 아프고 변비나 설사를 자주 한다. 대변을 보고 난 뒤 시원하지 않은 것도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주요 증상 중 하나다.
박영숙 을지대 을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대장내시경 검사나 대변·혈액검사 등에서 이상소견이 거의 없고 식이요법 및 약물치료로 개선되는 질환”이라며 “다만 정확한 진단 후에 소화제나 지사제 등을 복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이 주 3회 이상 계속되면 병원을 찾아보는 것이 좋다. 이들 증상과 함께 대변에 피가 묻어 나오거나 체중이 줄었다면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대장암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과민성 대장증후군이 생기는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불안, 긴장, 피로, 스트레스 등이 심하면 질환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평소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한 번 과민성 대장증후군이 생긴 환자는 치료를 해도 쉽게 재발한다. 자극적 음식과 술, 카페인, 지방이 많이 든 식품은 섭취를 삼가거나 줄여야 한다. 우유와 콩류도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쌀 위주의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식이섬유가 많이 든 바나나 토마토 딸기 오렌지 등 과일과 채소류를 섭취해야 한다. 섬유질이 많이 든 식품을 한 번에 많이 먹으면 배 속에 가스가 많이 생길 수 있다. 상황에 맞춰 적당한 양을 먹는 게 중요하다.
유산균 섭취도 주의해야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가 손쉽게 선택하는 방법 중 하나가 유산균 섭취다. 장내 세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산균을 오랜 기간 복용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유산균도 주의해서 복용해야 한다. 비만세균을 억제하는 유산균은 장 건강에 도움이 되지만 부작용도 무시할 수 없다.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줄 위험도 있다.권길영 을지대 을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몸에 이로운 미생물인 유산균의 주 성분인 프로바이오틱스는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 정확한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고 했다.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한 뒤 오히려 배에 가스가 차거나 복부팽만감, 설사, 변비 등의 증상이 생겼다면 섭취량을 조절하거나 섭취를 중단해야 한다.
유산균은 장 건강에 유익하다고 알려진 ‘세균’이다. 몸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질환이 있는 사람은 의사와 상담한 뒤 복용해야 한다. 암 때문에 항암제 등을 먹는 환자나 면역질환 등으로 면역 기능이 떨어진 환자, 항생제를 먹는 환자는 유산균을 잘못 복용하면 패혈증이 생길 위험이 있다. 크론병이나 장누수증후군 환자도 마찬가지다. 최근에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장내 미생물이 복원되는 속도가 느려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건강 상태를 고려해 의사와 상담한 뒤 복용해야 한다.
2주 넘은 피로감은 ‘이상징후’봄이 되면 흔하게 생기는 증상 중 하나가 춘곤증이다. 몸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나타나는 피로감이다. 춘곤증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일시적으로 생기는 증상이다. 질병은 아니다. 대개 피로감, 무기력증, 나른함, 집중력 저하 등을 호소한다. 봄을 심하게 타는 사람은 두통, 식욕부진, 소화불량 증상도 생긴다. 춘곤증은 몸이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면 사라진다. 대부분 2주 안에 증상이 나아진다.
황경진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햇볕을 보지 않고 일하는 직장인이나 과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사람, 평소 운동하지 않는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쉽게 춘곤증을 느낀다”며 “대개 점심시간이 끝난 뒤 심한 피로감을 호소하는데 이는 소화를 위해 에너지를 쓸 때 생기는 식곤증이 동시에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했다.
다만 봄에 생긴 피로감이 무조건 춘곤증 증상은 아니다. 피로감이 2주 넘게 지속되거나 피로감 때문에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생겼다면 만성피로증후군이나 수면장애 등 다른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다. 피로감은 건강을 위해 없어서는 안될 꼭 필요한 신호다. 대부분의 질환은 피로 증상으로 시작된다.
김선영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뚜렷한 원인이 없다면 피곤함은 상당한 고민거리가 될 수 있다”며 “피로감이 간염, 당뇨병, 폐결핵, 빈혈, 갑상샘질환, 우울증 등의 초기 증상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
봄나물 섭취와 규칙적인 운동 중요
춘곤증 예방에 가장 도움되는 것은 봄나물 섭취다. 봄이 되면 겨울보다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이 많이 필요하다. 과일이나 채소를 통해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대표적인 봄나물은 냉이다. 단백질 함량이 높은 데다 칼슘, 철분, 비타민A가 많이 들어있다. 춘곤증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잠을 충분히 자는 것도 중요하다. 1주일에 세 번 이상 산책, 자전거 타기, 줄넘기 등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면 몸에 활력을 줄 수 있다. 하루 7시간 이상은 숙면을 해야 피로를 풀 수 있다. 숙면을 위해 침실 온도는 25도 정도로 유지해야 한다. 너무 푹신한 침구는 피하는 것이 좋다. 이준희 경희대병원 사상체질과 교수는 “적당히 운동하고 충분히 잠을 자면 혈액순환을 도와 노폐물과 피로물질이 잘 제거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bluesky@hankyung.com
도움말=박영숙 을지대 을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권길영 을지대 을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황경진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 김선영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이준희 경희대병원 사상체질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