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아파트 전세가율 65%대로 '뚝'…"입주 증가 때문"
입력
수정
입주 물량 증가, 전세가격 하락 영향
"전세가율 하락 당분간 불가피"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이 전국 새 아파트(입주 2년 미만 아파트) 전세가율을 분석한 결과 올해 드러 전세가율은 65%로 2년 전(71%) 보다 6%포인트 하락했다. 2017년 이후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전세가격이 떨어지면서다.전국 새아파트 전세가율이 65%대로 낮아졌다. 전북, 제주, 서울 3개 지역만 70%를 간신히 유지하고 있다. 부산, 충남, 대구, 광주 등 대부분 지역에서 전세가율이 낮아진 모습이다.
서울은 71%로 70%대를 유지하고 있었다. 다만 면적별로는 다른 모습이었다. 전용면적 60㎡이하의 새아파트 전세가율은 79%이지만, 전용 60㎡ 초과~85㎡ 이하의 새아파트는 55%로 전세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2017년 전용 60㎡초과~85㎡이하의 새아파트 전세가율이 66%였던것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경기지역은 면적에 상관없이 전세가율이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새 아파트 전세가율이 64%로 평균을 밑돌았다. 전용 60㎡ 이하와 전용 60㎡ 초과~85㎡ 이하가 각각 65%수준을 보였다. 전용 85㎡ 초과는 58%로 낮았다. 입주물량 증가로 전세공급이 늘어나면서 전셋값이 하락한 영향이다.
인천은 2017년 83%였던 새아파트 전세가율이 2019년 60%까지 떨어졌다. 인천 경제자유구역인 송도, 청라, 영종 일대 새아파트 공급이 증가하면서 전셋값이 낮아져서다. 매매가격 상승이 컸던 광주는 2019년 새아파트 전세가율이 66%를 나타내며 2017년(82%)과 비교해 16%나 전세가율이 낮아졌다.김 매니저는 "입주물량이 늘어나면서 전세공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이후 전세시장은 하향 안정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며 "잔금마련 압박을 받는 새 아파트는 집주인들이 시세보다 저렴하게 전세를 내놓는 경우도 많아 전세가율 하락은 당분간 불가피하다"고 전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