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400조원 '비메모리' 정조준…종합 반도체 1위 꿈꾼다
입력
수정
2030년까지 133조원 투자삼성전자가 시스템 반도체 육성 계획인 '반도체 비전 2030'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R&D(연구개발) 73조원, 생산시설 60조원 등 총 133조원을 투자해 R&D·제조 전문인력 1만5000명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전문인력 1만5000명 채용
세계 최고 '생산능력' 보유
기술력 앞세워 비메모리 육성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550조원 규모로 비메모리에 해당하는 시스템LSI의 비중이 70%를 넘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이끄는 반도체 1위는 전체 반도체 시장의 30%에 불과하다는 의미다.메모리 반도체는 몇년 새 50% 넘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지만 지난해 말부터 수요가 잦아들면서 매출이 하향세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비메모리는 상대적으로 적은 연평균 5~6% 수준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꾸준히 성장하는 추세다. 삼성전자가 비메모리 사업을 포기할 수 없는 배경이다.
◆삼성전자, 종합 반도체 '1위' 정조준
반도체 업계는 설계와 공장을 함께 운영하는 IDM(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공장 없이 설계와 판매만 하는 팹리스(fabless), 팹리스 업체의 주문을 받아 위탁 생산만 하는 파운드리(foundry)로 운영된다.종합반도체업체로 불리는 IDM은 설계부터 생산·판매까지 모든 공정을 운영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인텔 등이 IDM에 속한다. 반면 팹리스와 파운드리는 설계와 공장 유무에 따라 다양한 전략적 협력관계를 가진다. 특화된 기술을 가질 수 있다는 뜻이다.
비메모리인 시스템LSI의 주도권은 팹리스와 파운드리 업체들이 갖고 있다. 퀄컴(팹리스)과 대만의 TSMC(파운드리)가 대표적인데 이들은 설계 또는 생산에 적합한 독립사업 체제를 구축해 다양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소품종 대량생산인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시스템LSI는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를 갖고 있다. D램, 낸드플래시 등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메모리와 달리 시스템 반도체는 종류만 수십 가지다. 이 때문에 안정된 생산능력과 선진공정은 최고의 경쟁력이 된다.◆ 국가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강화
삼성전자는 2017년 고객에 최적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 LSI사업부를 팹리스와 파운드리로 분리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시스템LSI 사업을 세분화해 사업영역 경쟁력을 확보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하지만 한계가 분명했다. 삼성전자가 대규모 투자를 통해 재도전에 나서는 이유다.
삼성전자의 장점은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고 있는 만큼 이번 계획은 국가 시스템 반도체 산업 생태계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삼성전자 관계자는 "과감하고 선제적인 투자와 국내 중소업체와의 상생협력을 통해 한국 시스템 반도체산업 발전에 앞장설 계획"이라 말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