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푸틴과 5시간 마라톤 회동…비핵화 공조강화 집중 논의

김정은 "지역정세 안정도모·공동관리 문제 심도 있는 의견 교환"
푸틴 "한반도 긴장 완화에 협력"…'비핵화·제재완화' 공감대 재확인 관측
북러 정상회담 8년만…김정은, 26일에 시찰 등 단독 일정 뒤 귀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5일 열린 첫 정상회담에서 난관에 봉착한 비핵화 문제에 대한 공조 강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김 위원장이 지난 2월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첫 대외행보로 푸틴 대통령과 만난 것은 미국과의 장기전에 대비한 우군 확보 차원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향후 비핵화 협상에서 북·중·러의 공동전선이 더욱 공고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오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루스키섬 극동연방대학에서 오후 2시 5분(현지시간·한국시간 오후 1시 5분)께 만나 5시간 동안 단독회담과 확대회담, 공식 연회 순으로 정상회담을 진행했다.김정은 "정세안정·공동관리 논의"…북러 확대정상회담 시작 / 연합뉴스 (Yonhapnews)
김 위원장은 단독회담 모두발언을 통해 "전 세계의 초점이 조선반도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면서 "조선반도 정책을 평가하고 서로의 견해를 공유하고 또 앞으로 공동으로 조정 연구해나가는 데서 아주 의미 있는 대화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확대회담 모두발언에서도 "전략적으로 지역 정세의 안정을 도모하고 공동으로 관리해나가는 데서 나서는 문제"를 회담 의제로 꼽았다.

이는 향후 비핵화 협상에 있어 러시아와 전략을 공유하고 공동 대응할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으로 해석됐다.푸틴 대통령도 한반도 문제 해결에 있어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다짐했다.

푸틴 대통령은 회담에 이은 공식연회 연설에서 "한반도 긴장 완화와 동북아 지역 전체 안보 강화를 위한 협력을 계속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한반도 문제의) 정치·외교적 해결 진전에 기여하기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확대회담 모두발언에서도 "(단독회담에서) 현 상황이 진전의 좋은 전망을 갖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지 등에 대한 의견 교환이 있었다"고 전했다.푸틴 대통령은 회담 뒤 회견에서 비핵화와 관련, "북한에는 자국 안보와 주권 유지를 위한 보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6자회담도 국제법적 대북 안전보상의 맥락에서 수요가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양 정상의 이런 발언으로 미뤄 앞으로 비핵화 협상에서 북러 양국의 공조체제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는 그간 북한이 요구하는 '단계적·동시적' 비핵화 방식을 지지하고 있고, 그 일환으로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맞춰 미국 등 국제사회가 대북제재 완화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번 회담에서도 이 같은 공감대를 재확인했을 것으로 보인다.
양 정상은 유엔 대북제재에 따라 올해 말까지 모두 철수해야 하는 러시아 내 북한 노동자들의 추가 체류에 대한 논의도 진행했다.

푸틴 대통령은 회견에서 관련 논의가 있었다고 소개한 뒤 "여러 대안이 있고 침착한 해결책이 있다"고 말했으나 구체적으로는 언급하지 않았다.

경제협력을 중심으로 한 양자 현안도 논의됐을 것으로 보인다.

확대 정상회담에는 러시아에서 예브게니 디트리흐 교통부 장관, 알렉산드르 코즐로프 극동·북극개발부 장관, 올렉 벨로제로프 철도공사 사장 등 경제 관련 고위인사가 대거 참석했다.

그러나 북측 배석자는 리용호 외무상과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 등 2명뿐으로 경제 관료가 포함되지 않아 깊이 있는 논의에는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러 정상회담은 2011년 8월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당시 러시아 대통령(현 총리) 간의 회담 이후 8년 만이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밤늦게 25∼27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국제협력 정상포럼 참석차 블라디보스토크를 떠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26일에도 블라디보스토크에 남아 자국 유학생과의 간담회, 주요 시설 시찰 등의 일정을 소화할 것으로 전해졌다.

시찰 예상지로는 러시아 태평양함대 기지와 루스키 섬의 오케아나리움(해양수족관), 블라디보스토크 근교의 우유 공장이나 초콜릿 공장, 빵 공장 등이 꼽힌다.김 위원장은 이르면 26일, 늦어도 27일 오전에는 전용열차를 타고 귀환할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