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러 김정은 다음행보는…對中·다변화 외교로 '장기전' 굳히기?
입력
수정
올초 합의된 '시진핑 방북' 실현 촉각…남북정상회담 호응할지도 관심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첫 대외 활동으로 러시아를 방문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다음 행보에 눈길이 쏠린다.김 위원장은 지난 24∼26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첫 회담을 가졌다.
집권 후 6년간의 '침묵'을 깨고 지난해 본격적으로 정상외교전에 뛰어든 김 위원장이 중국·남한·미국에 이어 러시아로도 정상외교 반경을 넓힌 것이다.
그의 다음 행보로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시나리오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이르면 상반기 방북해 북중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이다.김 위원장은 올해 1월 네 번째로 중국을 방문했을 때 시 주석에게 방북 초청에 대한 수락을 얻어냈다.
당시 북한 매체는 시 주석이 '방북 계획을 통보'했다고 밝혀 시기 등에 대한 논의가 구체적인 수준까지 진전됐음을 시사했다.
김 위원장이 이미 4번이나 방중했음에도 시 주석은 집권 후 북한을 찾은 적이 없다.외교 관례로 볼 때도 다음 차례는 시 주석의 방북이 될 가능성이 크고, 북한도 시 주석의 방북 성사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인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10월 신중국 창건 70주년 행사 때 김 위원장이 다시 방중하려면 그 전에 (북한 입장에서) 가장 좋은 것은 시 주석의 방북"이라고 관측했다.
김 위원장의 다음 정상회담 상대가 시 주석이라면, 일단은 대미 장기전 속에서 자력갱생을 통한 '버티기'에 무게를 싣고 이를 위한 동력과 자원을 확보하겠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김동엽 경남대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중정상회담은) 제재와 관련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링거' 역할을 할 수 있다"며 "김 위원장 입장에서는 자신이 가는 길의 정당성을 주민에게 보여주는 의미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북중 정상회담까지 성사되면 북중러 간 최고위급에서 긴밀한 소통이 이어지게 된다는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을 만난 후 곧바로 중국 베이징 '일대일로 정상포럼'에 참석해 시 주석에게 북러회담 결과를 공유했다.
김 위원장이 안전판 역할을 해줄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장기적으로 '새로운 길'을 모색하기 위한 포석을 놓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물론 문재인 대통령이 공개 제의한 남북정상회담에 응해 조기에 남·북·미 협상 트랙으로 복귀하는 것도 김 위원장의 선택지다.
그러나 남측의 북미협상 중재 의사에도 북한이 최근 소극적인 대남 태도를 보여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는 분석이다.
문 대통령도 27일 열린 판문점 선언 1주년 기념행사 영상 메시지에서 "때로는 천천히 오는 분들을 기다려야 한다"며 당분간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한 전직 고위당국자는 북한이 최근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을 김영철에서 장금철로 교체한 데 대해 "남북회담과 북미회담을 총괄하는 (김영철의) 역할이 없어지는 것"이라며 "남북회담과 북미회담을 분리하고 북미회담은 국제적 판으로 끌고 가는 식으로 프레임을 바꾸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이와 별도로 북한은 '외교 다변화'를 통한 우호적 대외 환경 마련도 계속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이미 두 차례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싱가포르와 베트남을 방문해 양자 정상회담을 하며 국제적 보폭을 넓혔다.
김 위원장의 방러 직후 박명국 외무성 부상은 시리아, 이란, 아제르바이잔, 몽골 등 비동맹 국가 순방에 나섰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도 28일(현지시간) 국영 IRNA통신에 "북한을 곧 방문하려고 준비 중이고 시점은 곧 발표될 것이다"라고 밝히는 등 전통적 우호 국가들과 북한이 당분간 교류를 강화하는 행보를 보일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김 위원장이 남·중·러 정상을 만나 주변 주요국 중에서는 일본만 남았다는 점에서 북일정상회담 개최 시점에도 관심이 쏠린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납북 일본인 문제 해결 등을 위해 북일 정상회담 추진에 의지를 보여 왔고, 양측은 꾸준히 물밑 접촉도 해왔다.
트럼프 대통령도 26일(현지시간) 미일 정상회담에서 이에 '전면 협력' 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그러나 북미협상이 교착된 현시점에서 당장에 북일 회담이 개최되기는 쉽지 않으리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연합뉴스
집권 후 6년간의 '침묵'을 깨고 지난해 본격적으로 정상외교전에 뛰어든 김 위원장이 중국·남한·미국에 이어 러시아로도 정상외교 반경을 넓힌 것이다.
그의 다음 행보로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시나리오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이르면 상반기 방북해 북중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이다.김 위원장은 올해 1월 네 번째로 중국을 방문했을 때 시 주석에게 방북 초청에 대한 수락을 얻어냈다.
당시 북한 매체는 시 주석이 '방북 계획을 통보'했다고 밝혀 시기 등에 대한 논의가 구체적인 수준까지 진전됐음을 시사했다.
김 위원장이 이미 4번이나 방중했음에도 시 주석은 집권 후 북한을 찾은 적이 없다.외교 관례로 볼 때도 다음 차례는 시 주석의 방북이 될 가능성이 크고, 북한도 시 주석의 방북 성사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인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10월 신중국 창건 70주년 행사 때 김 위원장이 다시 방중하려면 그 전에 (북한 입장에서) 가장 좋은 것은 시 주석의 방북"이라고 관측했다.
김 위원장의 다음 정상회담 상대가 시 주석이라면, 일단은 대미 장기전 속에서 자력갱생을 통한 '버티기'에 무게를 싣고 이를 위한 동력과 자원을 확보하겠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김동엽 경남대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중정상회담은) 제재와 관련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링거' 역할을 할 수 있다"며 "김 위원장 입장에서는 자신이 가는 길의 정당성을 주민에게 보여주는 의미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북중 정상회담까지 성사되면 북중러 간 최고위급에서 긴밀한 소통이 이어지게 된다는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을 만난 후 곧바로 중국 베이징 '일대일로 정상포럼'에 참석해 시 주석에게 북러회담 결과를 공유했다.
김 위원장이 안전판 역할을 해줄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장기적으로 '새로운 길'을 모색하기 위한 포석을 놓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물론 문재인 대통령이 공개 제의한 남북정상회담에 응해 조기에 남·북·미 협상 트랙으로 복귀하는 것도 김 위원장의 선택지다.
그러나 남측의 북미협상 중재 의사에도 북한이 최근 소극적인 대남 태도를 보여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는 분석이다.
문 대통령도 27일 열린 판문점 선언 1주년 기념행사 영상 메시지에서 "때로는 천천히 오는 분들을 기다려야 한다"며 당분간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한 전직 고위당국자는 북한이 최근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을 김영철에서 장금철로 교체한 데 대해 "남북회담과 북미회담을 총괄하는 (김영철의) 역할이 없어지는 것"이라며 "남북회담과 북미회담을 분리하고 북미회담은 국제적 판으로 끌고 가는 식으로 프레임을 바꾸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이와 별도로 북한은 '외교 다변화'를 통한 우호적 대외 환경 마련도 계속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이미 두 차례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싱가포르와 베트남을 방문해 양자 정상회담을 하며 국제적 보폭을 넓혔다.
김 위원장의 방러 직후 박명국 외무성 부상은 시리아, 이란, 아제르바이잔, 몽골 등 비동맹 국가 순방에 나섰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도 28일(현지시간) 국영 IRNA통신에 "북한을 곧 방문하려고 준비 중이고 시점은 곧 발표될 것이다"라고 밝히는 등 전통적 우호 국가들과 북한이 당분간 교류를 강화하는 행보를 보일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김 위원장이 남·중·러 정상을 만나 주변 주요국 중에서는 일본만 남았다는 점에서 북일정상회담 개최 시점에도 관심이 쏠린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납북 일본인 문제 해결 등을 위해 북일 정상회담 추진에 의지를 보여 왔고, 양측은 꾸준히 물밑 접촉도 해왔다.
트럼프 대통령도 26일(현지시간) 미일 정상회담에서 이에 '전면 협력' 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그러나 북미협상이 교착된 현시점에서 당장에 북일 회담이 개최되기는 쉽지 않으리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