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왜 백신이 없나
입력
수정
지면A19
뉴스카페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의 국내 상륙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퍼지면서 국내 동물의약품 회사들이 방역용 소독제 연구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1960년대 생독백신 썼지만
돼지 후유증 심각해 폐기
29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ASF 바이러스를 죽일 수 있는 효능을 인정받은 제품은 코미팜의 판킬, 케어사이드의 세탁큐와 원탑콘 등 3종이다. 판킬은 먼저 수출용으로 허가받고 내수용으로는 지난해 10월 1년 안에 효력시험 결과를 제출하는 조건으로 한시적 허가를 받았다. 케어사이드 제품 2종은 올해 2월 ASF 바이러스에 대한 허가를 받았다. 세탁큐는 이달 28일부터 ASF 바이러스에 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원탑콘은 오는 5월 초 출시 예정이다. 우진비앤지도 자사 소독제 크린업에프의 ASF 사용 허가 신청을 낼 계획이다.
ASF가 정부와 업계에 ‘초미의 관심사’인 이유는 높은 치사율과 전염성 때문이다. 일단 감염되면 확산을 막기 어려울뿐더러 급성형에 감염되면 치사율이 100%에 이른다. 지난해부터 중국,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 등지에서 연쇄 발병하면서 국내 유입도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ASF 바이러스는 1921년 케냐에서 처음 발견됐지만 유전형질과 단백질 성분이 다양하고 복잡해 그동안 백신을 만들지 못했다. 주로 아프리카 등지에서 많이 발생해 다국적 제약사의 관심이 떨어졌던 것도 백신 개발을 더디게 한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하지만 중국 등 세계 각지로 ASF가 확산되면서 백신 연구가 본격화하고 있다. 일각에선 앞으로 수년 내 ASF 백신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선우선영 케어사이드 이사는 “1960년대 스페인에서 ASF가 창궐했을 때 스페인에서 생독백신을 개발했지만 돼지에게 발생하는 후유증이 심각해 폐기됐다”며 “현재로서는 유일한 대응책이 살처분인 만큼 축산 농가의 방역 활동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