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반도체 신규 일자리 2만7000개 창출"

산업부, 5대 중점대책 발표

10년간 R&D 예산 1조 투입
파운드리 세계 1위 달성 목표
팹리스와 연계해 생태계 구축
정부가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2만7000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현재 16% 수준인 반도체 파운드리(수탁생산) 시장 점유율을 35%까지 끌어올려 세계 1위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30일 이런 내용의 ‘시스템 반도체 육성을 위한 5대 중점대책’ 브리핑에서 “국내 시스템 반도체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수차례 시도했는데도 가시적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게 사실”이라며 “5G(5세대) 등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새롭게 열린 시장을 놓치지 않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비메모리 반도체라고도 불리는 시스템 반도체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메모리와 달리 정보 처리를 위해 제작된 반도체다.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등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신기술의 핵심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국내 반도체산업은 메모리 중심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작년 세계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 점유율은 4.1%에 그쳤다. 중국(5.0%)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정부는 내년부터 2029년까지 10년간 시스템 반도체 연구개발(R&D)에 총 1조원을 집중 투입하기로 했다. 2021년 연세대 및 고려대에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하는 한편 이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2030년까지 전문인력 1만7000명을 양성하겠다는 계획이다.정부의 육성책은 ‘맞춤형 생산’이 가능한 시스템 반도체 특성을 고려해 수요 발굴에 초점을 맞췄다.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와 파운드리 간 연계를 강화해 ‘생태계’를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에너지, 국방 등 공공분야에서 시스템 반도체 수요를 추가 발굴해 2400억원 이상의 신시장을 창출하기로 했다. 노후화된 폐쇄회로TV(CCTV)를 시스템 반도체가 장착된 지능형으로 교체해 범죄예방 및 산불감시 등에 활용하는 식이다. 민간분야에서는 자율주행차, 바이오, 에너지, 사물인터넷(IoT), 기계·로봇 등 유망 분야를 중심으로 시스템 반도체 수요를 발굴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와 반도체 수요·공급기업, 연구기관 등 25개 기관이 모인 ‘얼라이언스 2.0’을 최근 구성했다.

정부는 작년 기준 1.6%에 불과한 국내 팹리스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2030년 10%로 높이겠다는 목표다. 파운드리는 같은 기간 35%로 끌어올려 세계 선두로 올라서겠다는 계획이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