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협상 결과에 달린 5대 산업경기…"하반기 회복 기대"

무협, 업종별 기업 방문…막바지 미중협상 10일 타결 가능성에 '촉각'
반도체, 미중 무역분쟁 영향…자동차는 美관세 예외 여부가 좌우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조선, 철강 등 5대 주력업종의 기업들은 최근 부진한 업황이 하반기 들어서면서 차츰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를 드러냈다.다만 기업 경기가 반등하기 위해서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이 해소되고 미국의 자동차 관세 등 한국을 겨냥한 무역장벽이 낮아지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4일 공개한 '기업 현장 방문을 통한 주요 업종별 수출 경기 진단' 보고서에서 "주요 5대 업종을 직접 찾아가 조사한 결과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글로벌 수요가 감소했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업종에서 어려움을 체감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와 석유화학 기업들은 수요 감소에 따른 단가 하락, 자동차·부품업체는 중국공장 가동률 하락으로 인한 수출 확대 어려움, 철강업체는 전방수요 감소와 중국의 수입규제를 업황 부진의 주요 요인을 꼽았다.한 반도체 후공정업체 관계자는 "미국의 대(對)중국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영업활동에 지장이 있다"며 "미중 갈등이 고조되기 전에는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국에 진출할 계획이었으나 지금은 잠정 보류한 상태"라고 말했다.

자동차 부품업체 관계자는 "올해 수출목표를 1천230억원으로 책정했다가 지난 3월 말 1천1억원으로 하향 조정했다"며 "수출의 75%를 차지하는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주문이 사업조정으로 감소했고 유럽 자동차기업과의 거래가 중국 경쟁사로 넘어가는 사례도 있었다"고 토로했다.
그렇다고 희망마저 사그라진 것은 아니다.업계 종사자들은 당분간 침체가 이어지겠으나 몇 가지 고비만 잘 넘어간다면 반등의 가능성은 남아있다고 기대했다.

한 반도체업체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부터 단가 하락세가 완화할 것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고 일반적으로 9∼10월 반도체 주문량이 늘어나는 계절적인 특성을 고려하면 이르면 연내 경기가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5세대 이동통신(5G) 보급과 관련한 서비스 확산을 가장 중요한 터닝포인트로 보고 있다"면서 "다만 구체적으로 언제, 어느 정도로 수요 증가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라고 덧붙였다.다른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최근의 부진은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영향을 받는 만큼 지금 진행 중인 협상이 타결된다면 경기가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과 중국은 지난해 상대국에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며 갈등을 빚은 끝에 지난해 12월 1일 양국 정상이 아르헨티나에서 만나 90일 '무역전쟁 휴전'에 합의했다.

협상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있으며 오는 10일 타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보고서는 "미국과 중국 간 의미 있는 협상 타결이 이뤄질 경우 세계 수출 물량과 단가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한국 수출이 크게 호조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가 한국기업을 겨냥한 무역장벽을 낮추려는 노력을 보다 적극적으로 기울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특히 자동차업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확장법 232조' 권고안 수용 여부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2월 17일(현지시간) '무역확장법 232조' 자동차 보고서를 백악관에 제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법에 따라 제출일로부터 90일이 되는 오는 17일까지 어떤 국가를 대상으로 어떤 형태의 수입규제를 시행할지 결정해야 한다.

보고서 내용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들은 "만약 수입 관세가 최대 25%로 높아진다면 대미 수출 급감이 우려된다"며 "한국이 예외적용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노력을 계속 기울여달라"고 촉구했다.

일부 업종은 주 52시간 근무제와 관련한 어려움을 호소했다.조선업체들은 "선박 건조 후 인도 전 이뤄지는 '시범항해'는 바다에 3개월을 있어야 하는 일정으로 진행돼 주 52시간제를 지킬 수 없다"며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예외 조항을 확대해달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