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원효대사·이황이 사랑한 청량산…12개 암봉이 절경이로다
입력
수정
지면E3
여행의 향기백두대간 천혜의 자연을 품은 경북 봉화군은 높은 산 아래 맑은 물이 흐르는 태고의 멋을 간직한 고장이다. 태백산과 소백산이 둘러싼 봉화는 속세를 떠나 산속에서 글을 읽으며 지냈던 선비와 충신, 효자와 열녀로 이름났다. 청정자연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전국에서 가장 많은 정자가 있을 만큼 문화유산이 가득하다. 발길 닿는 곳마다 선조의 숨결이 묻어 있는 고색창연한 봉화로 여행을 떠나보자.
'경북의 보석' 숨겨진 봉화이야기 - 봉화의 명산과 명소
문화유산 품은 청량산도립공원경북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에 있는 청량산도립공원은 봉우리마다 펼쳐진 수려한 기암괴석이 장관을 이룬다. 소금강(小金剛)이라 부를 만큼 아름다운 산은 1982년 경북도립공원으로 지정됐다. 2007년 3월,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돼 수려한 경관과 더불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청량산 입구에 들어서면 낙동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나온다. 다리에서 바라봤을 때 왼쪽에는 마치 주상절리를 옮겨 놓은 듯한 절벽이 솟아 있다. 아름다운 절벽은 예부터 학이 날아와 새끼를 치고 서식해 학소대(鶴巢臺)라고 한다. 다리를 사이에 두고 학소대와 좌우로 나란히 서 있는 금강대는 학소대와 자태를 견줄 만큼 비경이다.청량산에는 가장 크고 긴 봉우리인 장인봉을 비롯해 자소봉 금탑봉 선학봉 자란봉 축융봉 등 12개의 봉우리가 첩첩이 산을 두르고, 봉마다 대(臺)가 있다. 깎아지른 듯한 기암괴석 봉우리 동굴 속에서 신라의 대문장가 최치원이 마시고 더 총명해졌다는 총명수가 흐르고, 원효샘에서는 샘물이 솟는다.
경일봉 밑에 있는 김생굴에는 재미있는 전설이 전해진다. 통일신라시대 글씨의 대가 김생이 이 암굴에서 9년간 글씨 수련을 했다고 한다. 김생은 어느 정도 실력을 쌓아 하산하려는데 길쌈을 수련한 청량봉녀가 나타나 실력을 겨루자고 했다. 굴속에서 불을 끄고 서로의 실력을 비교해보니 청량봉녀가 짠 천은 한 올도 흐트러지지 않았고 김생의 글씨는 고르지 못했다. 부족함을 깨달은 김생은 1년 더 수련하고 세상에 나가 최고의 명필이 됐다. 붓을 씻었던 우물, 세필정도 남아 있다.청량산에는 신라시대 불교 문화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었다. 높은 봉우리를 의상봉 보살봉 반야봉 문수봉 원효봉처럼 불교식으로 불렀다. 조선 중종 39년(1544), 당시 풍기군수였던 주세붕이 숭유억불 정책에 따라 열두 봉우리의 이름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불가의 산은 유가의 산이 됐다.
청량산이 불교의 요람에서 유교의 성지가 된 이유로 조선시대 최고 학자, 퇴계 이황을 빼놓을 수 없다. 퇴계는 어릴 때부터 청량산에서 글을 읽고 사색을 즐겼다. 도산서원에서 제자를 가르치면서 틈틈이 산을 찾았다. 도산서원을 세울 때 청량산과 현재의 도산서원 자리 중 ‘어디에 서원을 둘 것인가’를 고민할 만큼 청량산을 사랑했다.
최치원, 퇴계 이황 등 역사 인물 흔적 가득장대한 청량산에는 역사의 흔적이 곳곳에 묻어 있다. 축융봉 일대에는 고려시대 공민왕이 쌓았다는 산성의 흔적이 남아 있고, 군율을 어긴 죄수를 처형했다는 밀성대와 다섯 마리 말을 타고 순찰을 다녔다는 오마도, 공민왕을 신으로 모시는 공민왕당이 있다. 공민왕당에는 공민왕의 위패가 봉안돼 있고, 벽에는 임금을 상징하는 용이 그려져 있다.
산자락마다 유서 깊은 문화유산이 빛난다. 천년고찰 청량사는 신라 문무왕 3년(663) 원효대사가 창건했다. 예전에는 연대사(蓮臺寺)로 불리며 30여 개의 암자를 거느렸던 큰 사찰이었다. 연대사는 무너져 터만 남고, 연대사 부속 건물 중 하나였던 유리보전이 중심전각이 돼 청량사라는 사찰로 이름을 바꿨다. 유리보전은 여러 차례 전란을 겪으면서 정면 3칸, 측면 2칸인 팔작지붕 모양의 소박한 건물로 개축됐다. 유리보전 현판 글씨는 고려 말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왔을 때 쓴 친필이라고 한다.
예전에 최치원의 이름을 따서 치원봉으로 불리던 층암절벽, 금탑봉에는 소나무들이 층을 휘감아 암벽 층마다 뿌리를 내렸다. 그 아래에 있는 응진전은 원효대사가 머물렀던 청량사의 암자로 663년 세워졌다. 금탑봉과 오랜 세월을 지켜온 응진전의 풍경은 청량산의 으뜸으로 여긴다.
청량사에서 응진전으로 가는 길에 있는 청량정사는 퇴계 이황을 기리며 조선 순조 32년(1832)에 세웠다. 퇴계 이황을 흠모하던 학자들이 성지순례하듯 다녀가며 학문과 수양을 쌓았다. 1896년 청량의진이 조직돼 의병투쟁의 근거지가 되기도 했다.
청량사 유리보전 옆길로 이어진 가파른 산길 끝에 오르면 하늘과 가장 가까운 다리를 만난다. 2005년에 놓은 하늘다리는 해발 800m의 자란봉과 선학봉을 연결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산악 현수교다. 다리를 건널 때 골짜기에서 나무를 흔드는 바람 소리가 서늘하지만 100명이 동시에 지날 수 있도록 안전하게 설계됐다.
고산 아래 펼쳐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춘양면 서벽리에 넓게 자리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높은 산 아래 골바람이 세고 차서 ‘한국의 시베리아’라고 불린다. 백두대간의 봄은 더디 오고, 봄볕은 짧게 지난다. 그런 이유로 수목원에서는 매화부터 개나리, 진달래, 벚꽃까지 제 차례를 잊고 한꺼번에 꽃망울을 터트렸다.
수목원은 백두대간 호랑이를 형상화한 트램을 타고 돌아볼 정도로 넓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지형의 이점을 살려 백두대간에 자생하는 고산 식물들을 수집해 전시하고 있다. 돌이 많고 분수가 솟는 암석원에는 해발 1500m 높이에 사는 900여 종의 고산식물이 돌 틈새에서 자라고 있다. 암석원의 높이는 해발 550m지만 해발 1500m와 똑같은 환경을 조성해 지구온난화로 사라져 가는 나무와 야생화를 심었다.
수목원이 조성되기 전, 동네 서낭당 자리에 있던 금강소나무는 여전히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 550년 된 철쭉군락지와 꼬리진달래군락지에서 화사한 꽃잎이 열리면 백두대간은 찬란하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모습을 담은 사계원, 백두대간 능선을 따라서 서식하고 있는 나무와 야생화를 심어놓은 백두대간 자생식물원에서 진귀한 풍경을 볼 수 있다. 산책길에는 멸종위기 야생식물, 미선나무 꽃향기가 바람에 실려 은은하게 퍼져나간다.
호랑이 숲으로 가는 길에는 자작나무 숲이 우거졌다. 작은 바람에도 흔들리는 숲에서 깊은숨을 들이쉬면 폐 속까지 시원하다. 숲을 나오면 흔히 볼 수 없는 고산식물인 만병초가 살고 있다. 만병초는 5월 중순에 꽃망울을 터트린다. 만병초원을 지나면 백두대간의 상징인 호랑이를 만날 수 있다. 백두대간 중턱 4.8㏊ 숲에 백두산 호랑이가 야생 그대로 지낼 수 있는 숲을 조성했다. 자연에 풀어놓은 암수 한 쌍의 호랑이, ‘한청’과 ‘우리’가 봄볕 아래서 한가롭게 낮잠을 즐기고 있다.
노란 산수유가 물들인 띠띠미마을, 두동마을
봉성면 동양리에 있는 띠띠미마을은 뒷듬(뒤에 있는 골짜기)에서 유래됐다. 뒷마을, 뒷뜨미가 세월이 흐르면서 띠띠미마을이 됐다. 정식명칭은 두동(杜洞)마을이다. 산으로 꽉 막힌 마을이라 막을 두(杜)자를 쓴다.1636년, 병자호란 때 두곡 홍우정이 참담한 마음으로 벼슬을 버리고 봉화의 깊은 산골 마을로 내려왔다. ‘벼슬하기 위해 공부하지 말라, 산수유만 잘 가꿔도 먹고사는 데 지장이 없을 것이니 공연한 세상일에 욕심을 두지 말고 휘말리지 말라’는 뜻을 담아 마을을 일궜다. 4월이면 봄의 한가운데서 지천으로 널린 산수유나무가 꽃을 피운다. 마을이 온통 노란색으로 물든다. 마을을 휘감아 흐르는 내성천 가에는 400년을 살아온 시조목 두 그루가 구름처럼 부풀어 무성한 꽃을 피운다. 옥류암, 성경재, 홍의상 가옥 같은 고즈넉한 고택이 남아 있는 띠띠미마을에 산수유꽃이 만발하면 노란 꽃들의 향연 속에서 ‘신춘 시낭송회’가 열린다.
봉화=글·사진 이솔 여행작가 leesoltou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