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리츠펀드에 돈 몰린다
입력
수정
지면A23
오피스 수요 급증…배당수익 年 4% 기대
국내 판매 펀드 3곳에 올들어 388억 유입

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에 설정된 일본 리츠 펀드에는 올 들어 388억원의 투자금이 몰렸다. 같은 기간 글로벌리츠재간접(266억원), 아태리츠재간접(88억원) 등 다른 지역 펀드와 비교해도 많은 돈이 투자됐다. 수익률은 7.12%로 글로벌리츠재간접(13.63%), 아태리츠재간접(11.51%) 등보다 낮지만 일본 부동산 전망이 밝아 인기를 얻고 있다는 분석이다.일본 리츠 펀드는 도쿄증시에 상장된 리츠에 투자한다. 대도시 사무용 빌딩이나 상업시설, 유명 관광지 호텔, 주택 등 일본 내 다양한 부동산에 분산 투자하는 리츠를 주로 담는다. 리츠는 여러 투자자에게서 자금을 모아 부동산을 매입 또는 개발하고 임대·관리하며 수익을 배분한다.

일본 정부가 저금리 정책을 이어가는 것도 긍정적이다. 금리는 부동산 기업들의 자금 조달비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쳐 리츠 수익률과 직결되기 때문이다.또 다른 강점은 배당수익이다. 리츠는 임대료나 매각차익 등 이익의 90% 이상을 투자자에게 배당한다. 일본 리츠 시장 전체의 평균 배당증가율은 2016년 8.6%에 이어 2017년 6.4%, 2018년 6.5% 등으로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일본 리츠의 기대 배당수익률은 지난해 말 기준 연 4%에 달한다.
박용식 삼성자산운용 펀드매니저는 “글로벌 증시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높은 배당수익률이 강점인 일본 리츠 펀드는 안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며 “일본 정부의 내수 확대 정책과 더불어 올해 럭비월드컵, 2020년 하계 올림픽 개최 효과로 관광객도 늘고 있어 호텔, 리조트 등이 호황을 맞고 있다”고 말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