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열의 데스크 시각] 눈 들어 이스라엘을 보라

김홍열 IT과학부장
국가가 한 단계 도약하려면 외부의 강한 충격이 필요할 때가 있다. 충격을 현명하게 흡수하면 국민의 에너지를 결집해 발전동력으로 삼을 수 있다.

다음은 너무나 잘 알려진 이런 사례다. 1957년 소련이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렸다. 미국은 이른바 ‘스푸트니크 쇼크’에 빠졌다. 대응에 나섰다. 1958년 항공우주국(NASA)을 창설했다. 1961년 케네디 정부는 10년 내 달을 정복하겠다는 목표(아폴로 계획)를 세웠다. 인류 최초의 유인 우주선 달 착륙 프로젝트였다. 그리고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를 달에 착륙시켰다.아폴로 계획의 연구개발 성과는 민간 기업으로 속속 이전되고 상업화됐다. 경제 발전의 밑거름이 됐다. 정부와 국민이 과학·기술·공학·수학 이른바 ‘스템(STEM)’의 중요성을 그 어느 때보다 뼈저리게 인식하고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스푸트니크 충격을 현명하게 흡수한 ‘아폴로 효과’였다.

세계 최초의 민간 달 착륙 도전

약 50년이 지난 올해 4월 11일. 이스라엘의 민간 무인 달 착륙선인 베레시트가 달 표면 착륙을 코앞에 뒀다. 갑자기 주엔진이 정지했고, 통신이 끊기면서 베레시트는 추락했다. 달 착륙까지 남겨둔 거리는 불과 20.8㎞였다.이스라엘은 실패했지만 달 궤도에 베레시트를 진입시킨 실력만으로도 대단한 평가를 받았다. 베레시트가 착륙에 성공했다면 세계 최초의 민간 달 착륙선이 될 뻔했다. 이스라엘은 미국 러시아 중국에 이어 세계 네 번째로 달에 우주선을 착륙시킨 국가가 됐을 것이다.

베레시트 프로젝트는 이스라엘 비영리기업 스페이스일(SPACEIL)이 추진했다. 알고 보니 2011년 청년 엔지니어 세 명이 아이디어를 내 출발했다. 이들은 구글이 주최한 민간 달 개발 아이디어 경연 프로그램(Lunar X Prize)에 참여했다. 구글 프로그램은 최종 우승자를 가리지 않고 중단됐으나 이스라엘 청년들은 도전을 멈추지 않았다.

이스라엘 억만장자 기업가 모리스 칸이 베레시트 프로젝트에 자금을 댔다. 1983년 세워진 이스라엘우주청(ISA)도 거들었다. NASA는 자문 역할을 했다. 청년 엔지니어 세 명의 꿈과 도전이 이스라엘의 꿈과 도전으로 비상했다.'베레시트 쇼크'가 필요한 한국

놀라운 건 이스라엘 청년 세 명이 꾼 꿈과 도전의 동기다. 세계 최초로 민간 우주선을 달에 착륙시켜 역사에 기록을 남기겠다는 의도가 아니었다. 이스라엘 미래세대가 도전정신과 기업가정신을 갖도록 자극하겠다는 것이었다. 달 착륙 성공이 국가 경쟁력의 기반인 STEM 교육의 폭발적 활성화로 이어지도록 충격을 주겠다는 게 목표였다. 제2의 아폴로 효과를 노렸다.

스페이스일은 베레시트 추락 직후 베레시트 2호를 개발해 2년 내 달에 착륙시키겠다고 밝혔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다시 도전하자”며 사기를 북돋웠다. 추락 직전 베레시트는 몸체에 부착된 동판의 이스라엘 국기를 찍어 전송했다. 그 국기엔 ‘작은 나라(SMALL COUNTRY), 큰 꿈(BIG DREAMS)’이란 글자가 선명했다.스푸트니크 1호에서 아폴로 11호를 거쳐 베레시트 1호로 이어진 충격과 도전. 한국에도 ‘베레시트 쇼크’가 절실하지 않을까. 우주청 설립은커녕 2025년(노무현 정부), 2023년(박근혜 정부), 2030년(문재인 정부)으로 계속 목표가 바뀌는 판에 달 착륙까진 기대하지 않는다. ‘스트롱 코리아’를 위해선 무엇보다 STEM 교육에 쇼크가 필요하다.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