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중국, 관세 보복 말라…상황 더 악화할 것" 경고
입력
수정
"협상 결렬되면 중국 크게 피해 볼 것"…연일 對中 강공 드라이브
참모 주장 반박하며 분노의 폭풍트윗'…"소비자 관세 부담할 이유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중국을 향해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중국이 보복에 나서면 상황이 더 악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일 트윗 등을 통해 대(對)중국 강경 메시지를 던지며 중국을 압박하는 모양새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6월 1일부터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5∼2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며 '보복'에 나서는 등 미중 무역 전쟁이 한층 격화하는 양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미국의 '관세 폭탄' 조치가 미국 소비자들의 부담으로 연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으며 국내적 후폭풍 차단에도 부심했다.
자칫 대선 국면에서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를 차단하기 위한 차원으로, 이번 관세 인상이 결과적으로 세금인상으로 미국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수 있다는 취지의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의 전날 방송 인터뷰 발언을 반박한 차원으로 보인다.
미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참모가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 기업 및 소비자들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점을 시인한 데 대해 맹공하며 격노한 상태로 아침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폭풍 트윗'을 통해 "관세가 부과된 많은 기업은 중국을 떠나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국가로 갈 것"이라며 "이것이 중국이 협상 타결을 간절히 원하는 이유다.
중국에서 사업하려는 이들은 아무도 남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엔 아주 안 됐지만, 미국엔 아주 좋다!. 중국은 너무 오랫동안 미국을 너무나 많이 이용했다"며 "그러니까 중국은 보복해서는 안 된다.
더 나빠지기만 할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과 중국의 많은 친구에게 '만약 협상을 타결짓지 않는다면 기업들이 중국에서 다른 국가로 떠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중국이 아주 크게 피해 볼 것'이라고 대놓고 말한다"며 "중국에서 구매하는 건 너무 비싸다"고 거듭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신들은 훌륭한 협상을 했고 거의 성사됐지만, 당신들이 파기했다"며 협상 결렬의 책임을 다시 한번 중국에 돌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미국 소비자는 오늘 자로 중국에 대해 발효된 관세를 부담해야 할 이유가 없다"며 "중국이 생산품에 대규모로 보조금을 주기 때문에 미국이 지급하는게 겨우 4(%)포인트일 때 21(%)포인트는 중국이 지급하는 것으로 최근 입증됐다"고 주장했다.
이는 관세 부과분 25% 가운데 중국측 부담이 훨씬 크다는 주장을 편 것으로 보인다.
이어 "또한 비관세 국가나 미국 내에서 상품을 구매한다면(최상의 아이디어) 관세는 완벽하게 피할 수 있다"며 "그렇게 하면 관세는 0"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은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이 진행되던 지난 10일 0시 1분을 기해 2천억 달러 상당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인상했다.
나머지 3천억 달러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도 같은 세율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3.2%를 기록했던 것을 언급하며 "예상외로 좋았던 1분기 GDP는 중국에서 들어온 관세에 큰 도움을 받은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참모 주장 반박하며 분노의 폭풍트윗'…"소비자 관세 부담할 이유없어"

연일 트윗 등을 통해 대(對)중국 강경 메시지를 던지며 중국을 압박하는 모양새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6월 1일부터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5∼2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며 '보복'에 나서는 등 미중 무역 전쟁이 한층 격화하는 양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미국의 '관세 폭탄' 조치가 미국 소비자들의 부담으로 연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으며 국내적 후폭풍 차단에도 부심했다.
자칫 대선 국면에서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를 차단하기 위한 차원으로, 이번 관세 인상이 결과적으로 세금인상으로 미국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수 있다는 취지의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의 전날 방송 인터뷰 발언을 반박한 차원으로 보인다.
미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참모가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 기업 및 소비자들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점을 시인한 데 대해 맹공하며 격노한 상태로 아침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폭풍 트윗'을 통해 "관세가 부과된 많은 기업은 중국을 떠나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국가로 갈 것"이라며 "이것이 중국이 협상 타결을 간절히 원하는 이유다.
중국에서 사업하려는 이들은 아무도 남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엔 아주 안 됐지만, 미국엔 아주 좋다!. 중국은 너무 오랫동안 미국을 너무나 많이 이용했다"며 "그러니까 중국은 보복해서는 안 된다.
더 나빠지기만 할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과 중국의 많은 친구에게 '만약 협상을 타결짓지 않는다면 기업들이 중국에서 다른 국가로 떠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중국이 아주 크게 피해 볼 것'이라고 대놓고 말한다"며 "중국에서 구매하는 건 너무 비싸다"고 거듭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신들은 훌륭한 협상을 했고 거의 성사됐지만, 당신들이 파기했다"며 협상 결렬의 책임을 다시 한번 중국에 돌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미국 소비자는 오늘 자로 중국에 대해 발효된 관세를 부담해야 할 이유가 없다"며 "중국이 생산품에 대규모로 보조금을 주기 때문에 미국이 지급하는게 겨우 4(%)포인트일 때 21(%)포인트는 중국이 지급하는 것으로 최근 입증됐다"고 주장했다.
이는 관세 부과분 25% 가운데 중국측 부담이 훨씬 크다는 주장을 편 것으로 보인다.
이어 "또한 비관세 국가나 미국 내에서 상품을 구매한다면(최상의 아이디어) 관세는 완벽하게 피할 수 있다"며 "그렇게 하면 관세는 0"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은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이 진행되던 지난 10일 0시 1분을 기해 2천억 달러 상당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인상했다.
나머지 3천억 달러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도 같은 세율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3.2%를 기록했던 것을 언급하며 "예상외로 좋았던 1분기 GDP는 중국에서 들어온 관세에 큰 도움을 받은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