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트럼프 '보복말라' 경고 2시간 만에 "최고 25% 관세" 맞불
입력
수정
"600억달러 미국산 제품에 6월부터 부과…美관세부과에 대응한 어쩔수 없는 조치"
관세 부과 시점인 6월 1일까지 시간 남아 양국 '협상 여지'미국의 '관세 폭탄'에 대응해 중국 정부가 6월 1일부터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5∼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폭풍 트윗'을 통해 중국을 향해 "보복하지 말라"고 공개적 경고 메시지를 보낸지 약 2시간 만에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맞불'에 나선 것이다.
이는 미국이 지난 10일 오전 0시 1분(미 동부시간) 2천억 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10%에서 25%로 인상한 데 따른 보복 조치로, 미·중의 무역전쟁이 한층 격화하는 양상이다.
13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6월 1일 오전 0시부터 미국산 수입품 일부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할 방침으로, 관세율은 품목별로 5%, 10%, 20%, 25%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중국 정부는 성명에서 "미국 측이 추가 관세 부과를 통해 무역갈등을 고조시키고, 협상을 통한 무역 이견 해소라는 원칙을 어겼다"며 "다변주의를 지키고, 우리의 합법적인 권한을 지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미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게 됐다"고 밝혔다.
보복 관세가 부과되는 품목은 총 5천140개 품목이다.
2천493개 품목은 25%, 1천78개 품목은 20%, 974개 품목은 10%, 595개 품목은 5% 관세를 부과한다.이번에 추가 관세가 부과되는 품목들은 지난해 무역전쟁 발발 후 중국 측이 미국의 '관세 폭탄'에 대응해 보복 관세를 부과했던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이다.지난해 여름 미국은 2천억 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중국도 이에 맞서 600억 달러 규모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했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소셜미디어 계정인 '협객도'(俠客島)는 작년 9월 25일 "24일 0시 1분 미국이 2천억달러의 중국 상품에 10% 관세를 부과했고, 동시에 중국 정부도 600억달러 어치의 미국 수입 상품에 5∼10%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고 전한바 있다.중국 측의 이날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동부시간 기준으로 오전 6시40분께 부터 트윗을 연달아 올려 중국 측에 보복하지 말라는 경고를 보낸지 약 2시간 만에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윗에서 "관세가 부과된 많은 기업은 중국을 떠나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국가로 갈 것"이라며 "중국에서 사업하려는 이들은 아무도 남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엔 아주 안 됐지만, 미국엔 아주 좋다!. 중국은 너무 오랫동안 미국을 너무나 많이 이용해먹었다"며 "그러니까 중국은 보복해서는 안 된다.
더 나빠지기만 할 뿐"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과 중국의 많은 친구에게 '만약 협상을 타결짓지 않는다면 기업들이 중국에서 다른 국가로 떠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중국이 아주 크게 피해 볼 것'이라고 대놓고 말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신들은 훌륭한 협상을 했고 거의 성사됐지만, 당신들이 파기했다"며 협상 결렬의 책임을 다시 한번 중국에 돌렸다.
앞서 미국은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이 진행되던 지난 10일 0시 1분을 기해 2천억 달러 상당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인상했다.
나머지 3천억 달러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도 같은 세율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미국 정부의 추가 관세 부과에 이은 중국 측의 '맞불 관세' 부과로 무역전쟁은 확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하지만 맞불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중국 측은 미국과 협상의 여지를 남긴 것으로 분석된다.
추가 관세 부과 시점을 '6월 1일'로 잡은 것은 그때까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무역갈등을 해소할 의지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미국 측도 10일 오전 0시 1분 이후에 미국으로 출발하는 중국 화물부터 25%의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혀, 인상된 세율로 관세를 실제 징수하기까지 시차를 뒀다.이는 중국과의 협상 시간을 벌겠다는 미국 측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두 나라 모두 즉각 확전을 피하고 추가 협상을 위한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분석된다.
/연합뉴스
관세 부과 시점인 6월 1일까지 시간 남아 양국 '협상 여지'미국의 '관세 폭탄'에 대응해 중국 정부가 6월 1일부터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5∼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폭풍 트윗'을 통해 중국을 향해 "보복하지 말라"고 공개적 경고 메시지를 보낸지 약 2시간 만에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맞불'에 나선 것이다.
이는 미국이 지난 10일 오전 0시 1분(미 동부시간) 2천억 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10%에서 25%로 인상한 데 따른 보복 조치로, 미·중의 무역전쟁이 한층 격화하는 양상이다.
13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6월 1일 오전 0시부터 미국산 수입품 일부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할 방침으로, 관세율은 품목별로 5%, 10%, 20%, 25%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중국 정부는 성명에서 "미국 측이 추가 관세 부과를 통해 무역갈등을 고조시키고, 협상을 통한 무역 이견 해소라는 원칙을 어겼다"며 "다변주의를 지키고, 우리의 합법적인 권한을 지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미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게 됐다"고 밝혔다.
보복 관세가 부과되는 품목은 총 5천140개 품목이다.
2천493개 품목은 25%, 1천78개 품목은 20%, 974개 품목은 10%, 595개 품목은 5% 관세를 부과한다.이번에 추가 관세가 부과되는 품목들은 지난해 무역전쟁 발발 후 중국 측이 미국의 '관세 폭탄'에 대응해 보복 관세를 부과했던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이다.지난해 여름 미국은 2천억 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중국도 이에 맞서 600억 달러 규모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했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소셜미디어 계정인 '협객도'(俠客島)는 작년 9월 25일 "24일 0시 1분 미국이 2천억달러의 중국 상품에 10% 관세를 부과했고, 동시에 중국 정부도 600억달러 어치의 미국 수입 상품에 5∼10%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고 전한바 있다.중국 측의 이날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동부시간 기준으로 오전 6시40분께 부터 트윗을 연달아 올려 중국 측에 보복하지 말라는 경고를 보낸지 약 2시간 만에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윗에서 "관세가 부과된 많은 기업은 중국을 떠나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국가로 갈 것"이라며 "중국에서 사업하려는 이들은 아무도 남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엔 아주 안 됐지만, 미국엔 아주 좋다!. 중국은 너무 오랫동안 미국을 너무나 많이 이용해먹었다"며 "그러니까 중국은 보복해서는 안 된다.
더 나빠지기만 할 뿐"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과 중국의 많은 친구에게 '만약 협상을 타결짓지 않는다면 기업들이 중국에서 다른 국가로 떠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중국이 아주 크게 피해 볼 것'이라고 대놓고 말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신들은 훌륭한 협상을 했고 거의 성사됐지만, 당신들이 파기했다"며 협상 결렬의 책임을 다시 한번 중국에 돌렸다.
앞서 미국은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이 진행되던 지난 10일 0시 1분을 기해 2천억 달러 상당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인상했다.
나머지 3천억 달러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도 같은 세율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미국 정부의 추가 관세 부과에 이은 중국 측의 '맞불 관세' 부과로 무역전쟁은 확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하지만 맞불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중국 측은 미국과 협상의 여지를 남긴 것으로 분석된다.
추가 관세 부과 시점을 '6월 1일'로 잡은 것은 그때까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무역갈등을 해소할 의지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미국 측도 10일 오전 0시 1분 이후에 미국으로 출발하는 중국 화물부터 25%의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혀, 인상된 세율로 관세를 실제 징수하기까지 시차를 뒀다.이는 중국과의 협상 시간을 벌겠다는 미국 측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두 나라 모두 즉각 확전을 피하고 추가 협상을 위한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분석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