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엽 "반쪽짜리 선거제 처리 안된다…의석수 316∼317석으로"

원내대표 취임 기자간담회…"'지역구 축소' 선거법 처리 절대 반대"
"제3지대 신당 필수불가결…정의당과 공동교섭단체 구성은 안돼"
민주평화당 유성엽 신임 원내대표는 8일 "제대로 된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아닌 어설픈 선거제 개혁 법안은 처리하면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유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표 선출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자유한국당을 뺀 여야 4당의 합의로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선거제법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거듭 피력했다.

의원정수(300명)를 유지하되 지역구 의원을 28석 줄이고 비례대표 의원을 28석 늘리는 내용의 여야 4당의 선거제 개혁안을 의원정수 확대와 지역구 축소 최소화 방향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임 일성으로 낸 것이다.

유 원내대표는 "한국당까지 들어오는 합의의 장에서 제대로 된 연동형비례대표제, 특히 지방 중소도시 의석이 축소되지 않거나 최소화 되는 방향으로의 합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유 원내대표는 "현재의 안 대로라면 표결에 부칠 때 부결시켜야 한다"며 "최대한 각 당 합의를 이끌어 내어서 의석수를 316석이나 317석으로 늘려서 지역구 의석 축소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의원 세비는 동결해도 의석수를 늘리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며 "그것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이런 반쪽짜리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처리해서는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 원내대표는 앞서 정견발표에서도 "우리 지역 기반인 호남에서 지역구 7석 축소가 불가피한 선거제 처리에 절대 반대한다"며 "잘못된 합의를 원점으로 돌려서 분권형 개헌과 완벽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해 노력하고, 그게 안되면 선거제 개혁은 보류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유 원내대표는 제3지대 신당 구상에 대해서는 "필수 불가결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제3지대 신당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다음 총선에서 바른미래당과 평화당 모두 전멸할 수밖에 없어서 (신당이) 만들어질 수밖에 없고, 그런 방향으로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경제 분야의 실정으로 더 빠져야 정상인데 덜 빠져있고 반성하지 않는 한국당의 지지율 결집이 나타나는 것은 두 당이 잘해서가 아니라 제3세력 정당이 지리멸렬하고 사분오열돼 그렇다"고 덧붙였다.정의당과의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대해서는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연연하기 보다, 공동이 아닌 제대로 된 교섭단체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경제 문제로 신음하는 국민들을 위해 제대로 된 경제 정책 대안을 발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는 정견발표에서도 "정의당과의 교섭단체는 결코 가서는 안될 길"이라며 "교섭단체 구성이 필요하면 제3지대 창출을 통해 교섭단체를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유 원내대표는 원내 존재감 확보를 위한 각오를 다졌다.

유 원내대표는 "'이대로는 안된다'는 위기 의식이 나에게 기회를 준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총선까지 남은 11개월 동안 치열한 원내 투쟁으로 존재감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민주당 2중대' 소리를 듣던 평화당은 없다.국정농단 세력과 함께 하지도 않을 것"이라며 "거대 양당에 합리적 대안을 제시 하고, 뜻을 같이 하는 분들을 모아 호남 정당을 넘어 전국 정당, 거수 정당을 넘어 대안정당으로 거듭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