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과학자 등 바이오 인재부터 키우자"

5개 부처·제약바이오 간담회
서울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15일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앞줄 오른쪽 여섯 번째부터),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연합뉴스
“신약 개발 과정에서 초기보다 임상 2~3상 때 지원이 더 필요하다. 또 해외 우수인력 유치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아쉽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획재정부가 15일 마련한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 간담회’에서 바이오벤처 에이비엘바이오의 이상훈 대표가 내놓은 정책 건의다.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도 연구개발(R&D) 지원이 대폭 확대돼야 한다고 했다. 정부가 제약·바이오산업을 ‘제2의 반도체’ 같은 주력 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실질적인 지원책이 나와야 한다는 의견을 쏟아냈다.“바이오 인력 부족 해소를”

서울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관에서 이날 열린 간담회에는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 성윤모 산업부 장관, 박능후 복지부 장관, 이의경 식약처장, 방기선 기재부 차관보 등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 앞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바이오헬스산업은 우리가 보유한 정보통신기술(ICT)과 우수한 의료 인력, 병원 등 강점을 살린다면 제2의 반도체와 같은 기간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분야”라고 했다.

참석자들은 전문인력 양성, 산업 생태계 혁신 등 다양한 의견을 냈다.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는 “생물계열 대학 졸업생을 뽑아도 바로 현장에 투입하지 못하고 3~4년간 교육이 필요하다”며 “학부 과정을 마치면 산업 현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트레이닝 시스템을 구축해달라”고 했다. 김선영 헬릭스미스 대표는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활성화가 필요하고 대학 연구가 창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정선 한국바이오협회장도 “데이터 과학자 등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강조했다.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활성화 주문도 나왔다. 조정열 한독 대표는 “오픈 이노베이션 활성화를 위해서는 규제 샌드박스 모범 사례를 만들어야 한다”며 “신약 개발 연구비를 자체 조달할 수 있는 정책 지원도 아쉽다”고 했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도 “오픈 이노베이션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됐다”며 지원 필요성을 제기했다.

“의약품 심사기간 단축을”

세제 지원에 대한 요구도 나왔다. 김동연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이사장은 “세계적인 혁신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초과학 연구와 세제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강석희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장도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등에 대한 세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글로벌 스탠더드 수준의 규제기관 역량 강화를 주문했다. 의약품 허가 심사료를 올려서라도 신약 심사 전문인력을 확보해 심사기간을 단축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서 회장은 “바이오의약품 심사를 위해 미국은 20억원, 유럽은 10억원을 내야 한다”며 “식약처도 700만원 수준의 수수료를 인상해 전문 인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장관들은 R&D 강화를 비롯한 바이오 생태계 육성을 약속했다. 유 장관은 “정부는 신약과 의료기기 개발을 위해 신약 후보물질 연구부터 임상에 이르는 전 주기 R&D를 지원하는 체계를 잡겠다”며 “이를 통해 민간이 기술 개발과 사업화를 주도하는 혁신적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성 장관은 “바이오 기업이 생산 과정에서 겪는 장비 수급 및 국산화, 인력 양성 문제 등을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