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내집 마련에 평균 7.1년…수도권 '한 채' 연봉 한푼 안쓰고 6.9년 모아야

내집 보유율 61.1%·내집 주거율 57.7% '역대 최고'
전체 가구의 5.7% '최저 주거 기준'에 못 미쳐
우리나라 국민이 내 집을 처음 마련하려면 평균 7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나라 국민이 내 집을 처음 마련하려면 평균 7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집을 장만하려면 연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그대로 모아야 7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6∼12월 표본 6만1275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 조사한 내용이다.이에 따르면 '생애 최초 주택' 마련에 걸리는 시간은 7.1년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6.8년, 2016년 6.7년보다 0.2∼0.3년 늘었다.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는 전국 단위에서 5.5배(중앙값)로, 2017년의 5.6배보다 다소 낮아졌다. 한 가구가 1년 소득을 모두 저축한다고 가정해도, 5.5년은 모아야 자기 집을 살 수 있다는 뜻이다.

특히 수도권의 PIR는 6.9배로 광역시 등(5.6배), 도 지역(3.6배)을 웃돌 뿐 아니라 2017년(6.7배)보다도 더 높아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해 서울 등 수도권 지역 주택 가격 급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집을 빌린 임차 가구의 월 소득에서 월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인 RIR는 전국에서 1년 새 17%에서 15.5%(중앙값)로 떨어졌다. 하지만 역시 수도권의 경우 18.6%로 오히려 2017년(18.4%)보다 상승했다. 자기 집을 가진 가구의 비율(자가 보유율)은 61.1%로 전년과 같았다. 수도권(54.2%), 광역시 등(63.1%), 도 지역(70.3%)에서 모두 변화가 없었다. 자기 집에 살고 있는 가구의 비율(자가 점유율)도 2017년과 다름없이 57.7%였다. 이는 조사 이래 역대 최고 수준이다.1년 사이 수도권 자가 점유율은 49.7%에서 49.9%로 다소 올랐지만, 광역시 등의 경우 60.3%에서 60.2%로 떨어졌다.

전체 가구의 평균 거주 기간은 7.7년으로 2017년(8년)보다 줄었고, 현재 집에서 산 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의 비율(주거이동률)은 36.4%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40.6%)의 주거이동률이 광역시 등(35.5%), 도 지역(30.6%)보다 높았다. 수도권에서 더 자주 이사가 이뤄진다는 얘기다.

전체 가구의 5.7%(111만 가구)는 '최저 주거 기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다만 이 비율은 전년(5.9%, 114만 가구)과 비교하면 다소 낮아진 것이다.이명섭 국토부 주택정책과장은 "자가보유율이 늘고 최저주거 미달 비율이 낮아지는 등 전반적으로 국민의 주거 수준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직 일부 내집 마련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조사 기간이 작년 6∼12월이기 때문에 9·13 대책 등에 따른 수도권 집값 안정 효과가 조사 결과에 반영되지 못한 부분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