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나의 R까기] 세종시 대규모 동시분양 '그림의 떡'
입력
수정
일반공급 물량 적어 수백대 1 당연지사
특별공급 기회 늘려야 하는데, 동시분양 실시예정
"소형 주택형에 무주택자 기회 늘리는 게 필요"
세종시에서 대규모 동시 분양을 앞두고 있다. 현장에서는 여전히 공무원들에게만 혜택이 집중되고 있다보니 일반인들에게는 '그림의 떡'일 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또 과열을 막기 위해 '동시분양'을 진행한다지만, 실제로는 '기회 축소'라는 반발도 일고 있다. 특별공급 비중이 높은 세종시에서 무주택에 소득이 낮은 수요자들에게 기회를 늘려주는 게 먼저라는 입장이다.세종시에서 일반인이 청약을 통해 내 집 마련을 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특별공급과 일반공급이다. 특별공급은 신혼부부, 다자녀, 노부모, 생애최초 등인데 조건이 까다롭다. 일반공급은 배정되는 세대수가 다른 지역에서보다 극히 적게 나온다. 더군다나 전국청약이 가능하다보니 경쟁률은 늘 고공행진이다.
LH와 주택업계에 따르면 세종시 4-2생활권에서는 아파트는 3개 사업장, 5개 단지(BL), 3256가구가 나온다. 이번에는 무주택 서민들이 첫 번째 집으로 적당하다는 전용 59㎡가 포함됐다. 3억원도 안되는 자금으로 세종시에서 내집 마련을 할 수 있을 전망이다. 특별공급으로는 신혼부부나 생애최초 대상자들, 일반공급으로도 예비청약자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문제는 '기회는 한번 뿐'이라는 점이다. 오는 24일 모델하우스를 열고 동시에 공급될 예정이다. 쉽게 말해 5개 단지에서 청약을 넣을 수 있는 기회는 단 한번이라는 얘기다. 신중한 청약을 권한다는 측면이 있지만, 문제는 특별공급의 기회까지 틀어막고 있다는 점이다.일반인들이 가능한 일반공급의 세대는 극히 적은 수준이다. 적은 가구에 전국 단위 청약이 가능하니 수백대 1의 경쟁률은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 투기·청약과열지구인 세종시는 각종 규제의 기준이 바늘구멍이라 불리는 '일반공급'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특별공급에서 경쟁률이 높았던 건 신혼부부다. 11가구 모집에 해당지역에서 94명이 접수했고 기타지역에서 117가구가 접수했다. 해당지역만 보면 8.5대1의 경쟁률이다. 비교적 낮은 경쟁률이라고 여길 수 있겠지만 조건이 까다롭다. 기본적으로 무주택을 유지해야하는데다 혼인기간, 청약통장의 조건도 필요하다. 소득기준과 부동산, 자동차 등의 자산기준도 맞춰야 한다.
정부는 무주택 세대주에게 청약의 우선권을 주도록 하겠다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공무원들의 몫까지는 바라지도 않는다. 무주택 세대주에게 기회를 많이 달라는 얘기다. 적어도 7년 만에 세종시 동시분양이 '행정 편의주의' 때문에 시작된 게 아니라면 말이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