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권 누리는 자를 응징…공평이란 원칙 통해 폴리스 공동체 유지
입력
수정
지면A26
소포클레스와 민주주의인간은 혼자 살 수 없다. 인간을 포함한 특별한 동물들은 단순히 모여 사는 군집(群集)이 아니라 서로 정교한 관계망으로 연결된 집단(集團) 안에서 산다. 군집 안에 잠시 체류하는 개별 존재들은 각자의 이익을 위해 그 모임에 속하기도 하고 떠나기도 한다. 그들에게는 군집에 대한 충성심이 없다. 자신의 이익이 우선이다. 그러나 집단 안에서 생활하는 구성원들은 집단을 유지하기 위한 가치들을 준수한다. 그 가치들은 구성원들 간의 상의와 숙고를 거쳐 형성된 보이지 않는 법이다. 집단의 구성원들은 이 법을 지키는 것이 궁극적으로 자신에게 이익이란 사실을 알고 있다. 이 법들이 바로 도덕과 윤리다.
배철현의 그리스 비극 읽기 (53) 공평(公平)
군집과 집단고대 그리스인은 기원전 5세기 자신들이 거주하는 도시를 지탱해나갈 원칙과 법률을 고민했다. 도시는 시민들이 자신의 이상을 펼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다. 이를 통해 시민의 행복을 보장한다. 한마디로 도시는 확장된 개인이다. 시민은 도시의 이익을 위해 충성하고 애국심을 발휘해 그 도시를 수호한다. 그들은 도시를 파괴하려는 외부의 적을 물리치기 위해 자발적으로 전쟁에 참여하고, 도시의 근간을 흔들어 분열을 조장하는 내부의 적들을 법정에 세워 심판한다.
정의와 자비
시민들은 내부 분열을 막고 단결된 집단을 만드는 것이 외부의 적을 물리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시민의 분열을 막고 자발적인 충성심을 끌어내는 데는 두 가지 원칙이 있다. 하나는 정의(正義)이고 다른 하나는 자비(慈悲)다. 시민들은 도시 안에서 최선을 다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행복한 삶을 추구했다. 그런 삶을 추구하기 위해 마련한 원칙이 ‘정의’다. ‘정의로운 삶’이란 자신이 수고한 만큼, 도시라는 공간에서 그 대가를 획득하고 즐길 수 있는 기회의 균등이다. 철학적 개념인 ‘정의’의 핵심은 ‘공평(公平)’이다. 공평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권선징악을 실행할 때 얻어지는 가치다. 누군가 자신의 특권을 이용해 이익을 편취한다면 사회는 그를 응징한다. 사회 구성원들은 공평이란 원칙을 통해 정의가 실현됐다고 믿는다.정의는 자비를 통해 더 높은 차원의 사회규범이 된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문구가 상징하는 고대 바빌로니아 함무라비 법전의 정신은 왕정시대에나 어울리는 과거의 법이다. 동태복수법(同態復讐法)이라고 알려진 이 법은 피해자가 당한 만큼 가해자에게 갚아주는 법이다. 이 원칙은 그러나 인간 본성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됐기 때문에 오래전 폐기됐다.
인간은 때로 악의적이다. 자신이 시기하거나 혐오하는 대상, 자신에게 해를 끼친 대상을 향해 ‘정의와 공평’이란 이름으로 필요 이상의 앙갚음을 한다. 독일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는 기원전 6세기, 소위 ‘축(軸)의 시대’에 정의를 넘어서는 가치를 위대한 종교사상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했다고 주장했다. 그것이 바로 ‘자비’다. 공자는 ‘용서’를, 불교는 ‘자비’를, 유대-기독교는 ‘사랑’을 설파했다. 소포클레스 비극 《엘렉트라》의 주인공인 엘렉트라는 공평을 실천하고 싶지만 딜레마에 빠진다. 자신의 아버지 아가멤논을 죽인 살인자에게 똑같은 공평, 즉 죽음을 요구할 대상이 바로 자신을 낳아준 어머니였기 때문이다.
나이팅게일과 니오베아르고스의 여인들로 구성된 합창대가 무대에 등장했다. 비참한 운명의 주인공 엘렉트라와 슬픈 노래를 주고받는다. 그들은 엘렉트라를 그녀의 이름으로 부르지 않았다. 그녀의 운명을 결정한 어머니를 언급하며 노래를 시작한다. “오, 어린아이여! 가장 죄 많은 불쌍한 어머니의 어린아이여!”(121행) 엘렉트라는 죄 많은 어머니 클리템네스트라의 딸일 뿐이다. 그녀는 아버지가 어머니와 그 정부에 의해 살해됐다는 사실을 정신적으로나 감정적으로 감당할 수 없어 하염없이 눈물을 흘린다. 엘렉트라는 자신을 위로하러 온 여인들의 선의를 이해하지만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은 절망과 애통을 절제할 수 없었다.
합창대는 억울하게 죽은 아버지에 대해 통곡하는 것이 도를 넘어서면 오히려 살아있는 엘렉트라를 재앙에 빠뜨릴 것이라고 경고한다. 엘렉트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영원한 슬픔의 상징인 나이팅게일과 니오베를 예로 들며 자신의 심정을 노래한다. “비참하게 돌아가신 아버지를 잊어버리는 자는 바보입니다. 저의 슬픈 마음은 봄을 알리는 새인 나이팅게일의 마음과 같습니다. 나이팅게일은 하염없이 ‘이튀스, 이튀스’ 하며 애통해 하는 새입니다.”(145~149행)
나이팅게일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울어대는 새로 유명하다. 나이팅게일은 그리스 신화 중 프로크네 이야기에 등장한다. 프로크네의 남편 테레우스는 그녀의 동생 필로멜라를 겁탈하고 혀를 자른 후 외딴 오두막에 감금한다. 프로크네는 필로멜라를 왕궁으로 데려와 함께 테레우스를 죽이자고 다짐한다. 그러나 남편과 닮은 아들 이튀스에 분노해 이튀스를 죽이고, 그의 살로 요리를 만들어 테레우스에게 먹인다. 제우스는 프로크네를 나이팅게일로, 필로멜라는 제비로 변신시켰다. 엘렉트라는 자신의 아들을 생각하며 ‘이튀스, 이튀스’ 하며 우는 나이팅게일과 자신의 운명이 비슷하다고 노래한다.엘렉트라는 니오베도 언급한다. “모든 것을 참고 견디는 니오베여! 바위 무덤 속에서도 항상 울고 있는 당신을 나는 신으로 모시고 있습니다.” 니오베는 7명의 아들과 7명의 딸을 낳은 여신이다. 니오베는 자만에 빠져 자신의 다산과 풍요를 항상 자랑했다. 니오베는 제우스의 두 아들 아폴로와 아르테미스 쌍둥이를 낳은 레토보다 자신이 훌륭하다고 떠벌렸다. 그러자 아폴로와 아르테미스는 하늘에서 화살을 쏴 니오베의 자식 14명 모두를 죽였다. 니오베는 너무 슬퍼 리디아에 있는 시필로스 산의 바위가 돼 봄이 되면 자신의 눈물을 샘물로 쏟아낸다.
엘렉트라의 운명
합창대는 엘렉트라의 과도한 슬픔을 이해할 수 없다고 다시 반박한다.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들은 항상 슬프다. 특히 엘렉트라의 동생인 크뤼소테미스와 이피게네이아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잘 살고 있고, 오레스테스는 고향을 떠나 유랑하며 살고 있다. 엘렉트라는 아직도 고향으로 돌아오지 않는 오레스테스가 섭섭하다. 합창대는 제우스가 그녀를 대신해 정의를 실천할 테니 슬퍼하지 말라고 당부한다. “세월이 약입니다.”(179행)
엘렉트라의 삶은 점점 더 고달파진다. 그녀는 결혼을 하지 않아 남편도 자식도 없고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비참해진다. 그녀는 하인처럼 남루한 옷을 입고 시중드는 신세로 전락했다. 합창대가 아가멤논이 죽던 날을 설명한다. “청동 도끼의 날이 빠르게 그분의 정수리를 내리쳤습니다. 당신의 아버지가 연회용 긴 의자에서 비명을 지르며 울부짖었습니다.”(194~196행) 그리고 엘렉트라에게 충고한다. “더 이상 말하지 마세요. 당신이 왜 이런 치욕적인 고통을 당하는지 모르시겠어요? 그건 자업자득이에요. 강자들과 그런 식으로 대적할 수는 없어요.”(214~216행, 220행)
공평
엘렉트라는 아버지의 불행한 죽음을 잊고 자신만 안락한 삶을 누릴 수 없었다. 그녀는 말한다. “살인자들을 죽음으로 공평하게 보상하지 않는다면 수치심과 경외심은 인간들에게서 완전히 자취를 감출 것입니다.”(247~250행) 엘렉트라는 인간 사회를 지탱하는 두 가지 원칙을 열거한다. 하나는 수치심이다. 수치심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아이도스(aidos)’는 동료 인간에게 마땅히 보여야 할 존경으로부터 나오는 마음이다. 수치심은 인간으로서 지녀야 할, 다른 사회 구성원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다. 다른 하나는 ‘경외심’이다. 경외심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에우세베이아(eusebeia)’는 도시에 사는 인간이 도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만든 제도들 즉, 축제와 의례를 지키고 사회의 연장자, 통치자 그리고 궁극적으로 신들을 떠받드는 신앙심을 말한다. 엘렉트라는 인간의 양심인 수치심과 사회의 원칙인 경외심을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로 공평을 얘기한다.
배철현 < 작가 ·고전문헌학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