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신약 터지면 7조원"…오송서 금맥 캐는 K바이오

위기탈출! 바이오가 희망이다
(1) 脫변방 시동 거는 K바이오
충북 오송이 경기 판교테크노밸리 일곱 배 규모의 국내 최대 바이오 제조기지로 성장하고 있다. 바이오 의료기기 등 생태계가 조성되면서 이곳에 둥지를 트는 제약·바이오기업도 늘고 있다.

19일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2009년 7억원에 불과하던 오송바이오밸리 생산액은 지난해 1조5506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올해 1분기 생산액은 4456억원으로,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첨단의료복합단지까지 포함하면 올해 전체 생산액은 2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도 같은 기간 14명에서 4058명으로 늘었다.

화장품회사 파이온텍이 2009년 10월 오송바이오밸리에 처음 공장을 연 지 10년 만에 오송은 국내 최대 바이오클러스터로 변신했다. 입주한 제약·바이오기업만 200여 곳이다. LG화학 대웅제약 메타바이오메드 등 제약·바이오기업은 물론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본부 등 정부기관, 충북대 등 대학, 베스티안병원 등 병원도 자리 잡았다.

종근당바이오, CJ헬스케어 등은 오송에 공장을 지을 계획이다. 고부가 바이오헬스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해서다. 글로벌 신약의 경제효과는 어마어마하다. 미국 애브비가 개발한 류머티즘 치료제 휴미라의 한 해 매출은 22조원에 달한다. 국내 제약산업 전체 규모(20조원)와 비슷하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연매출 7조원 규모 의약품 한 개를 개발하면 4만 명의 일자리가 생긴다”고 말했다.
< LG화학 오송 진단시약 전용공장 > LG화학 연구원이 충북 오송바이오밸리 진단시약 전용공장에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LG화학 제공
K바이오 메카 된 오송…CJ헬스케어·종근당 속속 新공장

LG화학의 당뇨병 신약 제미글로, CJ헬스케어의 30호 국산 신약 케이캡, 국내 판매 1위 보툴리눔톡신 제제인 메디톡스의 메디톡신. 이들은 모두 충북 오송생명과학단지에서 생산해 세계로 수출하는 제품이다. 오송바이오밸리는 2009년 첫 번째 기업이 입주한 뒤 10년 만에 국내 최대 바이오클러스터로 발돋움했다. 생산과 수출, 일자리도 크게 늘었다. K바이오의 희망으로 불리는 이유다.

인천 송도는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를 중심으로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가 이끄는 바이오밸리로 크고 있는 데 비해 오송은 민관 합작의 바이오 제조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생산액이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7%다. 아직은 변방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오송 송도 등 바이오밸리를 중심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제품이 늘면서 국산 바이오헬스산업의 미래가 밝다는 분석이 나온다.
오송공장 확대하는 제약·바이오회사

19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CJ헬스케어는 2021년 생산을 목표로 오송공장을 확장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CJ헬스케어는 오송에 2만5663㎡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이곳에서 생산하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 케이캡은 중국 베트남 멕시코 등으로 기술 수출됐다. 업체 관계자는 “공장 증설에 따라 80~100명 정도를 추가 고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앞서 메디톡스도 내년 8월까지 476억원을 투입해 보툴리눔톡신 제제를 생산하는 신공장을 오송에 세우기로 했다. 종근당바이오는 457억원을 투입해 2021년 12월 새 공장 문을 연다.규모가 작은 바이오회사도 오송에 속속 둥지를 틀고 있다. 엠젠플러스 미라셀 등이 오송바이오밸리 입주 계약을 맺었다. 송도에 국내법인을 운영 중인 일본의 아지노모도제넥신은 다음달 오송에 새 사무실을 연다. 야론 실버베르크 아지노모도제넥신 과학담당 수석은 “제약, 화장품 회사가 모인 오송에 사무실을 열면서 협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오송에 둥지를 튼 기업 중 세계 시장을 이끄는 곳도 많다. 오송공장을 가동하고 있는 메타바이오메드는 치과용 충전재 세계 1위 업체다. 세계 치과용 충전재 시장의 20%를 차지하는 제품을 생산한다.

민간 바이오생태계 조성도 한창

오송생명과학단지 조성 사업은 1997년 시작됐다. 2010년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국책 기관이 들어서면서 오송의 변신이 시작됐다. 첨단의료복합단지를 포함한 1단지 463만㎡는 모두 분양이 끝났다. 2016년 분양을 시작한 329만㎡ 규모 2단지도 외국인 투자 구역을 제외하면 모두 분양이 마무리됐다. 당초 계획보다 1년 빠른 속도다. 충청북도는 2026년 완공을 목표로 3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지면적만 847만㎡에 이른다. 3단지까지 완공되면 오송바이오밸리는 1639만㎡로 확대된다. 세계적 규모다. 오송으로 향하는 바이오헬스 기업이 늘어나는 것은 이런 확장성 때문이다. 식약처 등 규제기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등 국가 연구시설을 활용하기 좋은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오송에 진출하는 기업이 늘면서 자생적 생태계도 조성되고 있다. 대전, 경기 판교에 운영되던 혁신신약살롱은 지난해 말 오송에서 모임을 시작했다. 지난해 이곳에 100병상 규모 임상시험센터를 연 베스티안병원이 주축이 됐다. 바이오분야 연구자가 모이는 민간 교류모임이다. 화장품회사가 모이는 화장품연구회도 올해 3월 첫 번째 모임을 열었다. 수젠텍 등 오송지역 진단기기업체는 올해 진단기기업체 모임을 새롭게 열 계획이다.

양재혁 베스티안병원 대외협력실장은 “연매출 20조원의 세계 1위 바이오기업 제넨텍은 기술자와 투자자의 맥주집 모임에서 탄생했다”며 “오송에도 자발적 민관 교류 모임이 늘면서 협력이 확대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바이오 업계는 전임상부터 임상3상, 제품 개발까지 절차마다 전문화된 업체가 생기는 추세”라며 “다양한 업종이 모이는 클러스터가 더욱 중요해지는 이유”라고 했다.

인력 부족·규제 등 여전히 한계

변화의 중심에 서 있는 오송이지만 한계도 있다. 인재 채용이 대표적이다. 국내 바이오기업이 겪는 대표적 애로다. 오송단지의 한 기업 대표는 “고속도로가 가까운데다 고속철도도 개통돼 서울과의 접근성은 높지만 인근 지역인 청주 등과의 접근성이 떨어진다”며 “거주 인구가 많은 청주 시내까지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오송에서만 할 수 있는 사업군을 지정해 제한적으로 규제를 풀어주는 노력도 필요하다. 오송을 세계적 바이오밸리로 키우기 위해서는 규제특구로 지정해 다양한 바이오헬스산업을 시연하는 장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오송 입주 기업에 다양한 특례 조항을 적용하고 있지만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마다 해석이 달라 혜택이 크지 않다”며 “생명윤리법, 의료법 등을 오송지역에만 예외적으로 풀어 의료데이터 연구 등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오송=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