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가 지목한 韓금융 위험요인은 "미중 무역분쟁·경제 성장세 둔화"
입력
수정
금융전문가들은 국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제의 성장세 둔화를 꼽았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금융전문가 96명 중 67%가 주요 금융리스크 요인 5개 중 하나로 미중 무역분쟁을 제시했다.국내경제 성장세 둔화(66%)가 뒤를 이었고, 기업실적 부진(44%),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44%), 가계부채 누증(43%)순으로 집계됐다.
1순위 응답빈도 수 기준으로는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22%)가 가장 많았다. 미중 무역분쟁(21%), 글로벌 경기 둔화(11%), 가계부채 누증(9%) 순이었다.지난해 11월 당시 서베이 결과와 비교하면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이 주요 위험 요인에서 제외됐다. 대신 기업실적 부진이 새 요인으로 들어갔다.단기인 1년 이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위험요인으로는 미중 무역분쟁,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제시됐다. 중기인 1∼3년 이내에 현실화될 가능성이 큰 위험요인으로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이 꼽혔다.
발생 가능성이 높은 요인으로는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지목됐다.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위험요인은 기업실적 부진, 미중 무역분쟁,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란 응답이 많았다.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11월 조사(29%) 대비 25%포인트 하락한 4%를 기록했다.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비율은 27%에서 52%로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기관 복원력, 대외지급능력 등이 양호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이전에 비해 주요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분산된 점도 일부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은은 매년 두 차례 국내외 금융기관 종사자와 금융전문가를 대상으로 한국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을 2012년부터 조사하고 있다.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금융전문가 96명 중 67%가 주요 금융리스크 요인 5개 중 하나로 미중 무역분쟁을 제시했다.국내경제 성장세 둔화(66%)가 뒤를 이었고, 기업실적 부진(44%),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44%), 가계부채 누증(43%)순으로 집계됐다.
1순위 응답빈도 수 기준으로는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22%)가 가장 많았다. 미중 무역분쟁(21%), 글로벌 경기 둔화(11%), 가계부채 누증(9%) 순이었다.지난해 11월 당시 서베이 결과와 비교하면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이 주요 위험 요인에서 제외됐다. 대신 기업실적 부진이 새 요인으로 들어갔다.단기인 1년 이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위험요인으로는 미중 무역분쟁,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제시됐다. 중기인 1∼3년 이내에 현실화될 가능성이 큰 위험요인으로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이 꼽혔다.
발생 가능성이 높은 요인으로는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지목됐다.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위험요인은 기업실적 부진, 미중 무역분쟁,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란 응답이 많았다.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11월 조사(29%) 대비 25%포인트 하락한 4%를 기록했다.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비율은 27%에서 52%로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기관 복원력, 대외지급능력 등이 양호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이전에 비해 주요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분산된 점도 일부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은은 매년 두 차례 국내외 금융기관 종사자와 금융전문가를 대상으로 한국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을 2012년부터 조사하고 있다.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