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분배 소폭 개선…처분가능소득 10년만에 감소

하위 20% 소득 5분기 연속 감소…"소득주도 성장 효과 논란"
상위 20% 소득 2%↓ 3년만에 감소…전체 근로소득 0.5%↑ 사업소득 1.4%↓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이 1년 전보다 2.5% 감소하면서 5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소득 상위 20%(5분위)는 2.2% 줄어 3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정부 정책효과 등의 영향으로 1분위의 소득 급락세가 주춤하고, 5분위의 소득이 부진해지면서 소득분배지표는 1년 전보다 소폭 개선됐다.

가계의 명목 처분가능소득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였던 2009년 3분기 이후 처음 감소했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1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2인 이상 가구)은 월평균 125만5천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5% 줄어들었다.

1분위의 소득감소 폭은 지난해 4분기(-17.7%)보다 축소됐지만, 지난해 1분기(-8.0%), 2분기(-7.6%), 3분기(-7.0%) 등에 이어 5분기째 감소했다.

근로소득은 14.5% 줄어 지난해 1분기(-13.3%)보다 감소폭이 확대됐다.근로소득도 2분기(-15.9%), 3분기(-22.6%), 4분기(-36.8%)에 이어 5분기째 두 자릿수 감소세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에 대해 "저희도 가슴 아파하는 부분"이라며 "최저임금으로 밀려난 사람도 물론 있겠고 경제가 어려운 상황이라 고용 여건이 어려운 점도 반영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근로소득도 감소한 점은 정부의 큰 숙제라고 보고 이 부분이 개선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고 약속했다.1분위의 소득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야권에서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재차 제기됐다.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문재인 정부의 정책은 어려운 형편에 놓인 사람들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면서 "서민경제 파탄을 불러온 소득주도성장과 각종 기업 옥죄기 정책을 즉각 멈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5분위 가계의 명목소득도 월평균 992만5천원으로 2.2% 감소해 2015년 4분기(-1.1%) 이후 3년 만에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차하위 계층인 소득 하위 20∼40%(2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284만4천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4% 늘었다.

2017년 4분기(2.0%) 이후 처음 증가세로 전환했다.

중간 계층인 소득 상위 40∼60%(3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5.0%, 차상위 계층인 소득 상위 20∼40%(4분위) 가계는 4.4% 각각 늘었다.
가계의 명목 처분가능소득은 0.5% 감소해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었던 2009년 3분기(-0.7%) 이후 처음 줄어들었다.

처분가능소득은 소득에서 사회보장부담금, 이자비용, 세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소비 지출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소득증가세가 둔화한 가운데 비소비지출이 증가한 데 따른 영향이다.

상·하위 가계의 소득이 모두 줄면서 소득분배 상황은 1년 전보다 소폭 개선됐다.

1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전국 2인 이상 가구)은 5.80배로 1년 전(5.95배)보다 0.15배포인트(p) 하락했다.

1분기 기준 5분위 배율이 하락한 것은 2015년 이후 4년만이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분위 계층의 평균소득을 1분위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값이며, 가구별 가구원 수를 고려해 계산한다.

그 수치가 클수록 소득분배가 불균등한 것으로 해석된다.

1분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은 1년 전보다 0.4% 증가했고, 5분위 처분가능소득은 2.1% 감소했다.

통계청은 1분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소득급락이 멈춘 가장 큰 이유로 정부의 아동수당, 실업급여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 공적이전소득을 통한 정책적 효과 확대를 지목했다.

1분위에 대한 공적이전소득은 1년 전보다 31.3% 증가했다.
박상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1분위의 소득 급락이 멈춰섰고, 5분위에서는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의 부진이 나타나면서 소득분배지표는 개선되는 모습"이라며 "분배지표가 개선됐어도 전체 시장의 소득 상황이 좋아진 것으로 판단하기에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시장의 소득창출 여력은 녹록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재산소득, 사전이전소득을 더한 시장소득 기준으로는 5분위 배율이 9.9배인데, 정부의 공적이전소득에 따른 정책효과가 반영된 5분위 배율은 5.8배로, 공적 이전소득을 통한 정책효과가 사상최대"라고 말했다.

전체 가계의 소득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1분기 전체 가구의 명목소득(2인 이상)은 월평균 482만6천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3% 늘었다.

증가폭은 2017년 2분기(0.9%) 이후 가장 낮아졌다.

명목소득이 늘면서 1분기 실질소득도 1년 전보다 0.8% 증가해 2017년 4분기 이후 6분기 연속 증가 행진을 이어갔다.

앞서 실질소득은 2015년 4분기 이후 8분기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오다 2017년 4분기에 9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1분기 명목소득을 유형별로 보면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월 322만1천원으로 1년 전보다 0.5% 늘어나는데 그쳤다.

사업소득은 89만2천원으로 1.4% 감소해 2분기 연속 감소 행진을 이어갔다.

재산소득은 1만6천500원으로 26.0% 감소했고, 생산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가 무상으로 보조하는 소득 등을 뜻하는 이전소득은 67만3천원으로 14.2% 늘었다.

비경상소득은 43.5% 줄어든 2만3천400원이었다.비경상소득은 경조소득이나 퇴직수당과 실비보험을 탄 금액 등을 말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