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 속 기준금리 연 1.75%로 동결
입력
수정
한국은행이 5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연 1.75%로 동결했다. 미중 무역전쟁 심화에 따라 세계 경제 성장 둔화 불안이 커지는 등 대외 불확실성이 가중된 결과다.
한은 금통위는 31일 서울 남대문로 한은 본관에서 이주열 총재 주재로 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1.75%로 유지했다.이에 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 연 1.50%에서 연 1.75%로 인상된 후 올 들어 동결 행진을 이어가게 됐다.
금통위의 결정은 시장의 예상대로였다.
국내 채권시장에서 대부분의 전문가가 금리 동결 전망에 무게를 뒀다.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3∼8일 104개 기관의 채권 관련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7%가 이달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답했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 폭 확대로 인한 자본유출 우려 등을 고려해 금리가 동결될 전망이라고 금투협은 전했다.최근 한국의 경제성장률 둔화 전망과 미중 무역갈등 심화 속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한은은 인하 가능성에 선을 긋고 있다. 이 총재는 이달 초까지도 금리 인하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역성장(-0.3%)했으나 한은은 2분기 경기가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 4월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앞으로의 경기를 나타내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의 동반 하락세가 11개월 만에 멈춰선 상황이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과 같은 98.5를 기록했다. 지난해 4월부터 내리막길을 걸었으나 이번에 보합세로 돌아섰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과 같은 98.2로 집계돼 지난해 6월부터 10개월간의 하락세가 끊어졌다.
다만 올해 상반기 성장률이 한은의 전망치(2.3%)를 달성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금융시장의 중론이다. 상반기 전망치 달성을 위해서는 2분기 GDP 성장률이 1.5%(전분기 대비)에 달해야 하기 때문이다.이에 국내외 연구기관들은 최근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나섰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9·13 대책'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금융불균형' 문제가 완화됐다는 점도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의 근거로 들고 있다.
채권시장에서는 이미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상당부분 반영하고 있다. 금통위를 앞둔 지난 29일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기준금리를 하회했다. 이 같은 현상은 2013년 3월 28일 이후 6년2개월 만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시중금리가 일제히 기준금리 부근까지 하락 또는 심지어 역전됐는데, 이는 사실상 통화당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도록 하는 압박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대한 국회 승인이 이뤄지기 전까지 통화당국은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조심스러운 시각을 유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이에 이날 금통위 이후 열리는 기자회견에서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소수의견' 출현이 확인될지, 향후 인하 가능성을 점칠 수 있는 이주열 한은 총재의 발언이 나올지에 금융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한은 금통위는 31일 서울 남대문로 한은 본관에서 이주열 총재 주재로 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1.75%로 유지했다.이에 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 연 1.50%에서 연 1.75%로 인상된 후 올 들어 동결 행진을 이어가게 됐다.
금통위의 결정은 시장의 예상대로였다.
국내 채권시장에서 대부분의 전문가가 금리 동결 전망에 무게를 뒀다.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3∼8일 104개 기관의 채권 관련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7%가 이달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답했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 폭 확대로 인한 자본유출 우려 등을 고려해 금리가 동결될 전망이라고 금투협은 전했다.최근 한국의 경제성장률 둔화 전망과 미중 무역갈등 심화 속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한은은 인하 가능성에 선을 긋고 있다. 이 총재는 이달 초까지도 금리 인하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역성장(-0.3%)했으나 한은은 2분기 경기가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 4월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앞으로의 경기를 나타내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의 동반 하락세가 11개월 만에 멈춰선 상황이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과 같은 98.5를 기록했다. 지난해 4월부터 내리막길을 걸었으나 이번에 보합세로 돌아섰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과 같은 98.2로 집계돼 지난해 6월부터 10개월간의 하락세가 끊어졌다.
다만 올해 상반기 성장률이 한은의 전망치(2.3%)를 달성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금융시장의 중론이다. 상반기 전망치 달성을 위해서는 2분기 GDP 성장률이 1.5%(전분기 대비)에 달해야 하기 때문이다.이에 국내외 연구기관들은 최근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나섰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9·13 대책'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금융불균형' 문제가 완화됐다는 점도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의 근거로 들고 있다.
채권시장에서는 이미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상당부분 반영하고 있다. 금통위를 앞둔 지난 29일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기준금리를 하회했다. 이 같은 현상은 2013년 3월 28일 이후 6년2개월 만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시중금리가 일제히 기준금리 부근까지 하락 또는 심지어 역전됐는데, 이는 사실상 통화당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도록 하는 압박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대한 국회 승인이 이뤄지기 전까지 통화당국은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조심스러운 시각을 유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이에 이날 금통위 이후 열리는 기자회견에서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소수의견' 출현이 확인될지, 향후 인하 가능성을 점칠 수 있는 이주열 한은 총재의 발언이 나올지에 금융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