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美교착속 文대통령 유럽行…베를린 잇는 '오슬로 선언' 나올까
입력
수정
DJ 노벨평화상 수상한 노르웨이 등 북유럽 3국 국빈방문
2년전 獨 쾨르버재단 초청 연설로 평화 프로세스 발판…이번에도 돌파구 찾나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 달 '한반도 평화'라는 화두를 들고 다시 유럽을 찾는다.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교착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문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출발점이 된 2017년 '베를린 구상'의 맥을 이을 새로운 대북 구상을 내놓으며 돌파구를 모색할지 주목된다.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29일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6월 9일부터 16일까지 6박 8일간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 북유럽 3국을 국빈 방문한다"고 밝혔다.
고 대변인은 그러면서 '혁신성장', '포용국가 실현'과 함께 '평화'를 이번 순방의 키워드로 제시했다.특히 방문국 가운데 노벨상을 시상하는 노르웨이가 포함된 점이 눈길을 끈다.
앞서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0년 12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적이 있는 만큼, 노르에이는 문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 메시지를 내놓기에는 최적의 장소라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본격화한 후 일부에서는 문 대통령이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이 노벨평화상을 받을 수도 있다는 얘기가 꾸준히 흘러나왔다.다만 문 대통령은 지난해 1차 남북정상회담 직후인 4월 30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노벨평화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타고, 우리는 평화만 가져오면 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북유럽 순방 중에도 문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의 도시' 오슬로를 무대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힐 수 있으리라는 관측이 나온다.
아울러 비핵화 협상을 진전시킬 계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지금의 한반도 정세가 '베를린 구상'이 나온 2년 전과 공통점이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2017년 당시에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 무력도발이 계속되며 남북관계가 대치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문 대통령은 그 해 7월 쾨르버 재단 초청연설에서 "여건이 갖춰지고 한반도 긴장과 대치 국면을 전환할 계기가 된다면 언제 어디서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다"고 언급하는 등 과감한 대북정책을 밝혔고, 문 대통령의 연설 내용은 1∼3차 남북정상회담을 거치며 차례로 현실화됐다.
물론 지금의 한반도 정세는 당시와 비교해 남북관계 개선 및 평화 분위기 조성 등의 측면에서 비약적 진전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지난 2월 북미 간 하노이 핵 담판 결렬 후에는 비핵화 협상이 소강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이 시점에서 문 대통령이 새로운 평화구상을 밝힌다면, 이를 계기로 비핵화 협상 진전의 실마리를 잡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도 일각에서 감지된다.특히 내달 하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및 한미정상회담이 예정된 만큼, 문 대통령이 평화구상을 내놓을 경우 북미 정상 양쪽에 한국 정부의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시키는 메시지가 되리라는 관측도 나온다.
/연합뉴스
2년전 獨 쾨르버재단 초청 연설로 평화 프로세스 발판…이번에도 돌파구 찾나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 달 '한반도 평화'라는 화두를 들고 다시 유럽을 찾는다.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교착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문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출발점이 된 2017년 '베를린 구상'의 맥을 이을 새로운 대북 구상을 내놓으며 돌파구를 모색할지 주목된다.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29일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6월 9일부터 16일까지 6박 8일간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 북유럽 3국을 국빈 방문한다"고 밝혔다.
고 대변인은 그러면서 '혁신성장', '포용국가 실현'과 함께 '평화'를 이번 순방의 키워드로 제시했다.특히 방문국 가운데 노벨상을 시상하는 노르웨이가 포함된 점이 눈길을 끈다.
앞서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0년 12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적이 있는 만큼, 노르에이는 문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 메시지를 내놓기에는 최적의 장소라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본격화한 후 일부에서는 문 대통령이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이 노벨평화상을 받을 수도 있다는 얘기가 꾸준히 흘러나왔다.다만 문 대통령은 지난해 1차 남북정상회담 직후인 4월 30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노벨평화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타고, 우리는 평화만 가져오면 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북유럽 순방 중에도 문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의 도시' 오슬로를 무대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힐 수 있으리라는 관측이 나온다.
아울러 비핵화 협상을 진전시킬 계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지금의 한반도 정세가 '베를린 구상'이 나온 2년 전과 공통점이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2017년 당시에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 무력도발이 계속되며 남북관계가 대치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문 대통령은 그 해 7월 쾨르버 재단 초청연설에서 "여건이 갖춰지고 한반도 긴장과 대치 국면을 전환할 계기가 된다면 언제 어디서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다"고 언급하는 등 과감한 대북정책을 밝혔고, 문 대통령의 연설 내용은 1∼3차 남북정상회담을 거치며 차례로 현실화됐다.
물론 지금의 한반도 정세는 당시와 비교해 남북관계 개선 및 평화 분위기 조성 등의 측면에서 비약적 진전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지난 2월 북미 간 하노이 핵 담판 결렬 후에는 비핵화 협상이 소강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이 시점에서 문 대통령이 새로운 평화구상을 밝힌다면, 이를 계기로 비핵화 협상 진전의 실마리를 잡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도 일각에서 감지된다.특히 내달 하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및 한미정상회담이 예정된 만큼, 문 대통령이 평화구상을 내놓을 경우 북미 정상 양쪽에 한국 정부의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시키는 메시지가 되리라는 관측도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