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내일 금리결정 금통위…'비둘기' 출현할까
입력
수정
KDI 등 금리인하 권고후 첫 통화정책 회의
'인하' 소수의견 기대감 높아…환율·부동산이 걸림돌31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소수의견이 등장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장 전문가들은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31일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연 1.75%에서 동결할 것이란 데 이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시장은 금리동결 결정보다는 금통위 내부의 기류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나올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인하 소수의견은 멀지 않은 시점에 한은이 금리를 내릴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금통위는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75%로 올린 뒤로 회의 때마다 줄곧 만장일치로 금리동결 결정을 내려왔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현재로서는 기준금리를 내리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최근까지 공개석상에서 동결 신호를 강하게 내왔다.그러나 국내외 경제 여건이 갈수록 불확실해지고 성장 동력도 약화하면서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갈수록 힘이 실리는 모습이다.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는 점도 금통위의 소수의견 등장 기대감에 일조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경제전망 보고서를 내며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에 통화당국도 보조를 맞출 것을 권고했다.KDI 전망에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에 완화적 통화정책을 주문했다.
한국처럼 중국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호주의 통화정책 기류 변화도 이번 금통위에서의 '비둘기'(통화완화 선호) 출현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필립 로 호주중앙은행 총재는 최근 "연 1.5%를 유지해온 기준금리의 인하를 고려한다"고 말했다.
호주는 2016년부터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동결해왔다.
미국 금융시장에서도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내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기대감이 팽배해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지난 29일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연준이 연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84.1%로 반영했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28일 연 2.268%로 하락해 2017년 9월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미국경기가 정점을 지났다는 인식 속에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하면서 글로벌 경기 하강에 대한 우려가 커진 탓이다.
김소영 서울대 교수는 "기준금리는 동결하겠지만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인하 소수의견이 나올 가능성은 지난번 회의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라며 "다만 높아진 원/달러 환율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소수의견 없이 이번에도 만장일치 동결 결정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도 만만치 않다.
현재와 같은 대내외 경제 여건에선 금리를 내린다 하더라도 성장세와 물가상승률을 끌어올리는 데 한계가 있다는 공감대가 한은 내부에 형성돼 있다는 것이다.
금리를 조금 낮춰봤자 부동산 시장과 가계부채만 자극하는 부정적인 효과만 더 크게 유발할 것이란 인식이다.
금리 인하가 원화 약세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소수의견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본다"며 "실물경기 하강이 실제로 나타나는지를 판단하고자 2분기 경제지표를 좀 더 지켜보려 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인하' 소수의견 기대감 높아…환율·부동산이 걸림돌31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소수의견이 등장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장 전문가들은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31일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연 1.75%에서 동결할 것이란 데 이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시장은 금리동결 결정보다는 금통위 내부의 기류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나올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인하 소수의견은 멀지 않은 시점에 한은이 금리를 내릴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금통위는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75%로 올린 뒤로 회의 때마다 줄곧 만장일치로 금리동결 결정을 내려왔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현재로서는 기준금리를 내리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최근까지 공개석상에서 동결 신호를 강하게 내왔다.그러나 국내외 경제 여건이 갈수록 불확실해지고 성장 동력도 약화하면서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갈수록 힘이 실리는 모습이다.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는 점도 금통위의 소수의견 등장 기대감에 일조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경제전망 보고서를 내며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에 통화당국도 보조를 맞출 것을 권고했다.KDI 전망에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에 완화적 통화정책을 주문했다.
한국처럼 중국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호주의 통화정책 기류 변화도 이번 금통위에서의 '비둘기'(통화완화 선호) 출현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필립 로 호주중앙은행 총재는 최근 "연 1.5%를 유지해온 기준금리의 인하를 고려한다"고 말했다.
호주는 2016년부터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동결해왔다.
미국 금융시장에서도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내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기대감이 팽배해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지난 29일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연준이 연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84.1%로 반영했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28일 연 2.268%로 하락해 2017년 9월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미국경기가 정점을 지났다는 인식 속에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하면서 글로벌 경기 하강에 대한 우려가 커진 탓이다.
김소영 서울대 교수는 "기준금리는 동결하겠지만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인하 소수의견이 나올 가능성은 지난번 회의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라며 "다만 높아진 원/달러 환율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소수의견 없이 이번에도 만장일치 동결 결정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도 만만치 않다.
현재와 같은 대내외 경제 여건에선 금리를 내린다 하더라도 성장세와 물가상승률을 끌어올리는 데 한계가 있다는 공감대가 한은 내부에 형성돼 있다는 것이다.
금리를 조금 낮춰봤자 부동산 시장과 가계부채만 자극하는 부정적인 효과만 더 크게 유발할 것이란 인식이다.
금리 인하가 원화 약세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소수의견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본다"며 "실물경기 하강이 실제로 나타나는지를 판단하고자 2분기 경제지표를 좀 더 지켜보려 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