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변동성 클수록 치매 발병 위험 높다"
입력
수정
고대구로병원 연구팀, 국가검진 받은 13만명 8년 추적결과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추려면 평상시 몸속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적정선을 유지하도록 신경 써야 함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총콜레스테롤 수치의 변동성이 클수록 치매 발병 위험이 높다는 게 이번 연구의 핵심이다.
고대구로병원·한림대병원 내분비내과 공동 연구팀(최경묵, 백세현, 류혜진, 정혜수)은 2008∼2015년 사이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13만1천965명을 평균 8.4년 추적 관찰한 코호트(역학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콜레스테롤의 변동성과 치매 발병 위험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4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런티어 인 뉴롤로지'(Frontiers in Neurology) 5월호에 발표됐다.연구결과를 보면 추적 기간 중 조사 대상자의 2.82%(3천722명)에서 치매가 발생했다.
치매를 종류별로 보면 알츠하이머병이 2.1%(2천776명), 혈관성치매가 0.37%(488명)였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속에 과다하게 쌓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대뇌 신경세포를 죽게 해 걸리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반면 혈관성 치매는 고혈압, 동맥경화 등으로 뇌혈관이 손상돼 발생한다.
연구팀은 총콜레스테롤의 변동성 정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눠 치매 발병 위험도를 비교했다.
이 과정에서 치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위험요인은 배제했다.그 결과 총콜레스테롤 변동성이 가장 큰 그룹(Q4)은 변동성이 가장 낮은 그룹(Q1)보다 전체적인 치매 발병 위험비가 15%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또 국내 치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만 봐도 총콜레스테롤 변동성이 가장 큰 그룹(Q4)에서 변동성이 가장 낮은 그룹(Q1)보다 치매 위험비가 12% 높았다.
콜레스테롤은 몸에 좋은 HDL(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과 몸에 나쁜 LDL(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로 나뉜다.
권장 수치는 LDL 콜레스테롤이 130㎎/㎗ 미만, HDL 콜레스테롤이 60㎎/㎗ 이상이다.
총콜레스테롤 농도로는 200㎎/㎗ 미만이 권고되며, 200∼239㎎/㎗ 는 '경계위험'으로 분류된다.
콜레스테롤과 치매 발병의 연관성이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미국 연구팀은 '미국의사협회 저널 신경학'(JAMA Neurology) 최신호에서 LDL(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이 과다하면 65세 이전에 '초로기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전문가들은 콜레스테롤의 변동성이 크면 뇌혈류 감소 및 뇌백질의 허혈성 변화에 영향을 미쳐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는다.논문 교신저자인 고대구로병원 최경묵 교수는 "총콜레스테롤의 변동성은 최근 심뇌혈관질환 및 사망의 위험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면서 "이번 연구로 총콜레스테롤 변동성이 치매 발병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향후 그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추려면 평상시 몸속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적정선을 유지하도록 신경 써야 함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총콜레스테롤 수치의 변동성이 클수록 치매 발병 위험이 높다는 게 이번 연구의 핵심이다.
고대구로병원·한림대병원 내분비내과 공동 연구팀(최경묵, 백세현, 류혜진, 정혜수)은 2008∼2015년 사이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13만1천965명을 평균 8.4년 추적 관찰한 코호트(역학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콜레스테롤의 변동성과 치매 발병 위험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4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런티어 인 뉴롤로지'(Frontiers in Neurology) 5월호에 발표됐다.연구결과를 보면 추적 기간 중 조사 대상자의 2.82%(3천722명)에서 치매가 발생했다.
치매를 종류별로 보면 알츠하이머병이 2.1%(2천776명), 혈관성치매가 0.37%(488명)였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속에 과다하게 쌓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대뇌 신경세포를 죽게 해 걸리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반면 혈관성 치매는 고혈압, 동맥경화 등으로 뇌혈관이 손상돼 발생한다.
연구팀은 총콜레스테롤의 변동성 정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눠 치매 발병 위험도를 비교했다.
이 과정에서 치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위험요인은 배제했다.그 결과 총콜레스테롤 변동성이 가장 큰 그룹(Q4)은 변동성이 가장 낮은 그룹(Q1)보다 전체적인 치매 발병 위험비가 15%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또 국내 치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만 봐도 총콜레스테롤 변동성이 가장 큰 그룹(Q4)에서 변동성이 가장 낮은 그룹(Q1)보다 치매 위험비가 12% 높았다.
콜레스테롤은 몸에 좋은 HDL(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과 몸에 나쁜 LDL(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로 나뉜다.
권장 수치는 LDL 콜레스테롤이 130㎎/㎗ 미만, HDL 콜레스테롤이 60㎎/㎗ 이상이다.
총콜레스테롤 농도로는 200㎎/㎗ 미만이 권고되며, 200∼239㎎/㎗ 는 '경계위험'으로 분류된다.
콜레스테롤과 치매 발병의 연관성이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미국 연구팀은 '미국의사협회 저널 신경학'(JAMA Neurology) 최신호에서 LDL(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이 과다하면 65세 이전에 '초로기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전문가들은 콜레스테롤의 변동성이 크면 뇌혈류 감소 및 뇌백질의 허혈성 변화에 영향을 미쳐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는다.논문 교신저자인 고대구로병원 최경묵 교수는 "총콜레스테롤의 변동성은 최근 심뇌혈관질환 및 사망의 위험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면서 "이번 연구로 총콜레스테롤 변동성이 치매 발병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향후 그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