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욱의 일본경제워치] 100세 시대의 고민…日은퇴부부 노후자금 2억원 가량 부족하다는데
입력
수정
오랜 인류사에서 100세 장수(長壽)는 꿈과 같은 일이었습니다. 하지만 막상 의료·보건 환경 개선과 경제수준 향상으로 100세 시대가 현실이 되면서 장수가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시각이 늘고 있습니다. 오히려 대비 없는 장수는 ‘악몽’이라는 의식이 적지 않습니다. 초고령 사회인 일본에서도 은퇴이후의 삶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엔 일본 금융청이 발표한 보고서에선 공적연금에만 의존하는 은퇴부부의 경우, 대략 2억원 가량의 노후자금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산케이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 금융청은 ‘100세 시대’를 맞아 대다수 은퇴 부부의 경우, 노후생활에 쓸 금융자산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은퇴 이후 여생이 길어지면서 필요한 자금 규모가 늘었다”며 미리부터 장기 자산투자를 해야한다고 강조한 것입니다.보고서는 평균적인 수입과 지출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연령대당 금융자산 변화를 추정했습니다. 65세 이상 남성과 60세 이상 여성으로 구성된 부부가 연금에만 의존한 생활을 한다고 가정할 경우, 매월 약 5만엔(약 54만원)의 적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봤습니다. 은퇴 이후 삶이 20년간 지속될 경우 부족한 자금의 규모는 1300만엔(1억4226만원)에 달하고, 은퇴기간이 30년에 달해 남성 수명이 95세에 달할 때에는 부족한 자금이 2000만엔(약 2억1891만원)에 이를 것이란 예상입니다. 일본에선 현재 60세 남성의 25%가량이 95세까지 살 것이란 추정이 나오는 상황입니다.
이에 금융청은 노후에도 일정 정도 생활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선 미리부터 보유자산을 합리적 운용하는 등 스스로 대비할 필요가 중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현역시절’ ‘퇴직 전후기’ ‘고령기’ 등 3개 연령대로 나눠 대응방안도 예시했습니다.
보고서는 ‘현역 시절’에는 조금씩이라도 매월 일정액을 여러 투자 상품에 장기간 분산 투자할 것을 권했습니다. ‘퇴직 전후기’에는 퇴직금과 연금수급액을 파악해 자신의 씀씀이와 들어올 돈의 내역을 구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지출을 줄일 수 없다고 판단되면 살고 있는 집을 팔고 물가가 싼 지역으로 이주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고령기’에는 병원에 입원하거나 양로원에 입주하는 등 당초 예상보다 의료 및 간호 비용이 클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노인의 경우, 인지기능과 판단능력이 감소하는 만큼 미리 금융자산을 정리하고 통장의 보관 장소, 자산정보 등을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와 공유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설명입니다.
금융청 보고서는 공적연금에 대해서도 “(연금만으로는)지금까지와 동등한 수준의 생활을 보장하긴 어렵다”며 정부의 공적부조의 한계를 인정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이번에 금융청이 발표한 보고서가 은퇴 이후 경제생활의 어려움을 지적하고, 노후대책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역할은 비교적 충실하게 시행했지만 노후 대비 각론은 여전히 미진하다는 인상입니다. 그만큼 여유로운 노후생활을 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잘 보여준 것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산케이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 금융청은 ‘100세 시대’를 맞아 대다수 은퇴 부부의 경우, 노후생활에 쓸 금융자산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은퇴 이후 여생이 길어지면서 필요한 자금 규모가 늘었다”며 미리부터 장기 자산투자를 해야한다고 강조한 것입니다.보고서는 평균적인 수입과 지출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연령대당 금융자산 변화를 추정했습니다. 65세 이상 남성과 60세 이상 여성으로 구성된 부부가 연금에만 의존한 생활을 한다고 가정할 경우, 매월 약 5만엔(약 54만원)의 적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봤습니다. 은퇴 이후 삶이 20년간 지속될 경우 부족한 자금의 규모는 1300만엔(1억4226만원)에 달하고, 은퇴기간이 30년에 달해 남성 수명이 95세에 달할 때에는 부족한 자금이 2000만엔(약 2억1891만원)에 이를 것이란 예상입니다. 일본에선 현재 60세 남성의 25%가량이 95세까지 살 것이란 추정이 나오는 상황입니다.
이에 금융청은 노후에도 일정 정도 생활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선 미리부터 보유자산을 합리적 운용하는 등 스스로 대비할 필요가 중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현역시절’ ‘퇴직 전후기’ ‘고령기’ 등 3개 연령대로 나눠 대응방안도 예시했습니다.
보고서는 ‘현역 시절’에는 조금씩이라도 매월 일정액을 여러 투자 상품에 장기간 분산 투자할 것을 권했습니다. ‘퇴직 전후기’에는 퇴직금과 연금수급액을 파악해 자신의 씀씀이와 들어올 돈의 내역을 구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지출을 줄일 수 없다고 판단되면 살고 있는 집을 팔고 물가가 싼 지역으로 이주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고령기’에는 병원에 입원하거나 양로원에 입주하는 등 당초 예상보다 의료 및 간호 비용이 클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노인의 경우, 인지기능과 판단능력이 감소하는 만큼 미리 금융자산을 정리하고 통장의 보관 장소, 자산정보 등을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와 공유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설명입니다.
금융청 보고서는 공적연금에 대해서도 “(연금만으로는)지금까지와 동등한 수준의 생활을 보장하긴 어렵다”며 정부의 공적부조의 한계를 인정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이번에 금융청이 발표한 보고서가 은퇴 이후 경제생활의 어려움을 지적하고, 노후대책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역할은 비교적 충실하게 시행했지만 노후 대비 각론은 여전히 미진하다는 인상입니다. 그만큼 여유로운 노후생활을 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잘 보여준 것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